
금융감독원이 조사단을 꾸리고 무역금융펀드(플루토TF-1호) 등 라임 환매 중단 펀드에 대한 분쟁조정을 시작하는 가운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과 검찰의 압수수색 등으로 향후 분쟁조정 일정 수립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26일 금융당국에 따르면 금감원은 이날 분쟁조정2국, 민원분쟁조사실, 자산운용검사국, 금융투자검사국 등으로 구성된 합동현장조사단 팀장·팀원 인사를 냈다.
조사단은 각 검사국에서 파견 인원을 협의한 이후 최종 발족한다.
금감원은 지난 21일 기준으로 누적 접수된 라임 펀드의 분쟁조정이 250건 이상이며 이중 무역금융펀드를 중점적으로 분쟁조정에 나설 계획이다.
하지만 코로나19 확산 등에 따라 금감원은 내달 초에 신한금융투자와 라임자산운용에 1차 현장조사에 나선 뒤 은행 판매사와 증권 판매사에 2, 3차 현장조사를 진행하는 일정을 다소 늦추는 방향을 염두하고 있다.
먼저 진행하는 라임운용과 신한금융투자에 대한 현장조사의 경우 검찰의 압수수색에 따라 관련 문서를 확보하기 어려울 수 있다는 내부적인 우려가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서울남부지검은 지난 19일 라임과 신한금투 등에 대한 압수수색을 실시했다. 검찰은 무역금융펀드 등과 관련한 컴퓨터 파일 자료 등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금감원은 지난해 진행한 라임과 신한금투에 대한 검사 자료를 내부적으로 공유받고 있고 검찰이 라임과 신한금투간 공모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핵심 부서인 프라임브로커리지서비스(PBS) 사업부 등에 관한 자료를 모두 수거했을 수 있어 자료 존재 여부 등을 파악해 일정을 수립할 계획이다.
또 은행과 증권 판매사를 대상으로 하는 2·3차 현장조사의 경우 투자 피해자와 판매 직원, 금감원 직원이 동반해 삼자 대면을 해야 하기 때문에 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어려움이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