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원순 서울시장은 10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우한 폐렴) 확산 방지 정책 추진과 관련해 “2015년 메르스 사태 당시 박근혜 정부가 얼마나 무능했는지 누구보다 낱낱이 증언할 수 있다”고 밝혔다.
박 시장은 이날 오전 자신의 SNS(사회관계망서비스)에 ‘정치를 어떻게 하느냐에 따라 감염병 대처도 다르다’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메르스 첫 확진 환자가 나온 지 6일 후에야 대통령 대면보고가 이뤄졌던 사실, 메르스로 감염된 병원을 투명하게 공개하지 않으려고 했던 사실을 똑똑히 기억한다”며 이 같이 말했다.
박 시장은 “늑장대처로 많은 확진자를 발생시키고 사망자를 키웠으면서도 당시 황교안 국무총리는 ‘초동 단계에서 한두명의 환자가 생겼다고 장관이나 총리가 나설 수는 없다’고 말했던 사실을 똑똑히 기억한다”고 지적했다.
이어 “며칠 전 문재인 대통령과 성동구의 선별진료소를 방문했다”며 “그 자리에서 저는 ‘메르스때 경험과 학습효과가 있어서 훨씬 더 잘하고 있다’ ‘과거 정부와 비교할 수 없을 정도’라고 말했는데, 이는 사실”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우리는 지난 메르스 사태를 통해 큰 교훈을 얻었다”며 “현장의 목소리에 귀기울이지 않는 무능한 정부가, 투명하게 공개되지 않는 정보가, 늑장대처가 감염병 대응에 얼마나 치명적인지, 국민들에게 얼마나 큰 시련과 고통을 주는지 절감했다”고 했다.
또 “5년만에 닥친 이번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사태에 직면했을 때, 과거의 경험을 토대로 정부와 지자체는 첫 확진자 발생 순간부터 신속하고 긴밀하게 소통하고 협력하며 감염병에 선제적으로 대처해 나가고 있다”며 “국민들도 적극적으로 예방수칙을 따르며 지역사회 감염을 막기 위해 노력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그는 “서울시가 보기에 부족한 것을 중앙정부에 즉각 요청하면 그대로 반영되고 있다”며 “과거 메르스 때와는 비교할 수 없을 만큼 달라졌다”고 설명했다.
박 시장은 특히 조선일보의 사설을 언급하며 일부 야당과 언론의 태도는 사회를 분열시킨다고 비판했다.
박 시장은 “그런데 조선일보는 사설에서 제 발언을 두고 감염병 앞에서 정치한다느니 비판했다”며 “WHO(세계보건기구)의 권고도 무시한 채,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를 우한폐렴이라 부르기를 고집하면서 사설은 메르스 때와 비교하는 것이 부질없다는 어이없는 논리를 펼친다”고 비난했다.
그는 “그렇다면 조선일보는 메르스 사태 당시 어떻게 보도했느냐”고 반문하며 “‘사실 메르스를 지금과 같은 괴물로 키워온 것은 바로 우리 자신’, ‘SNS에 퍼지는 유언비어에 휘둘리면 더 큰 피해를 부를 수 있다’ 당시 무능하고 불통의 정부 책임을 묻는 날카로운 기사는 없고, 감염병 확산을 개인의 탓으로 돌리며 정치공방보다 위기극복을 위해 하나가 돼야 한다고 주장했다”고 지적했다.
그는 “묻고싶다. 그때는 온 국민이 함께 국난을 극복하자 하더니, 왜 지금은 그런 기사를, 사설을 쓰지 않느냐”며 “그때는 되고, 지금은 왜 안되는가. 도대체 누가 더 감염병을 정치적으로 이용하고 싶어하는 것인가”고 반문했다.
그는 “국민의 생명과 안전을 볼모로 삼아 불안과 공포를 자극해 혐오를 부추기며 정쟁으로 삼는 데에만 관심을 쏟는 일부 야당과 언론의 태도는 사회를 분열만 시킬 뿐”이라며 “지금 감염병 확산을 막기 위해 총력을 다해야 하는 시점에 어떻게 진보와 보수, 여야, 중앙정부와 지방정부가 따로 있겠는가”라고 주장했다.
박 시장은 “조선일보가 5년전, 사설에 썼던 시의적절한 제목이 하나 있다”며 “‘한국인의 위기극복 DNA 다시 한번 모을 때다’ 지금이 바로 그런 때”라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