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은 14일 '파산 위기'에 빠진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과 관련해 "제2, 제3의 용산사태가 발생하지 않도록 정부에서도 해법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줘야할 것"이라고 밝혔다.
이상일 새누리당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말도 많고 탈도 많던 30조원 규모의 서울 용산국제업무지구 개발사업이 끝내 무산되고 말 것이라는 소식"이라며 "이에 따라 용산개발 사업과 관련된 기업, 사업 구역에 포함돼 재산권을 행사하지 못했던 용산구 서부이촌동의 2300여 가구도 큰 피해를 입을 걸로 보인다"고 정부의 해법 모색을 촉구했다.
이 대변인은 이어 "정부는 '용산사업이 코레일과 민간 투자자간 협약을 거쳐 추진한 사업이므로 개입하지 않겠다'는 입장을 밝혔다"며 "중앙정부가 이 사업에 직접적인 관련이 없다고는하지만 해당 기업과 주민들이 연쇄적으로 큰 피해를 입을 가능성이 큰 만큼 정부도 문제를 외면하지 말고 관계자들이 해법을 도출하는 데 도움을 줘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특히 "전국에 부동산 호황기에 추진됐던 민관 합동개발 사업들이 많다고 한다. 이들 사업도 '용산사태'처럼 문제를 일으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따라서 차제에 전면적인 실태조사나 감사를 실시해 제2, 제3의 용산사태가 재발하는 것을 방지하는 노력을 기울여야 할 것"이라고 당부했다.
그러면서 "서울시와 코레일, 관련 기업 등은 사업 실패의 책임과 손실을 상대에게 떠넘길 생각을 하기에 앞서 어떻게 해야 용산 주민 등의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을지 깊은 고민을 해야 할 것"이라고 해법 모색 촉구를 부추겼다.
한편 용산국제업무지구 사업개발의 주체인 드림허브프로젝트금융투자㈜는 지난 13일까지 만기연장을 위한 기업 어음 이자 52억원을 갚지 못해 좌초 위기에 빠졌다.
더욱이 내달까지 갚아야 할 이자만 500억원이 넘는데다 출자사들마저 투자를 꺼리고 있어 회생 가능성은 매우 낮을 것으로 보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