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2일 오전 북한이 3차 핵실험을 했을 것이라 추정되는 가운데 우리나라 실물경제에는 큰 영향이 없을 것이라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이날 오전 11시57분께 북한 함경북도 길주군 인근에서 3차 핵실험에 의한 것으로 추정되는 인공지진이 발생했다. 군 당국은 3차 핵실험의 위력을 6~7킬로톤(Kt) 정도인 것으로 추정했다.
북한의 3차 핵실험 강행 추정소식에 경제 전문가들은 그 영향이 제한적일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이명활 한국금융연구원 거시국제금융연구실 선임연구위원은 "북한 핵실험의 영향이 있을 수는 있지만 그렇게 크지는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북한과 관련한 학습효과 때문에 단기간에 끝날 것으로 보인다"며 "지금까지 북한 관련 이슈가 장기간 영향을 미친 적이 없었다. 오늘 주가를 봐도 크게 출렁이지 않기 때문에 지금까지 봐서는 과거랑 비교했을 때 크게 영향을 미치지 않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다만 "이후에 전개되는 상황에 따라 달라질 것"이라며 "북한의 핵실험이후 국제적으로 강력한 제재가 뒤따르고 그에대해 북한이 과격하게 대응하면 한반도 지정학적 위험이 높아지면서 외환시장부터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근태 LG경제연구원 거시경제담당 연구위원도 북한의 핵실험이 전반적으로 실물경제에 영향을 미치는 영향이 크지 않고, 단기적 영향에 그칠 것이라고 내다봤다.
이 연구위원은 "북한의 핵실험 등의 리스크가 장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적은 없었다"며 "전반적으로 북한 관련 이슈는 코리아 디스카운트에 반영 되어있다"고 말했다.
이어 "이번에도 주가와 환율 등은 단기적으로 영향을 받았지만 장기적 영향은 크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며 "2006년 핵실험과 2010년 연평도 포격사건 등 과거 북한으로 인해 충격이 컸던 시기에는 생산과 소비는 감소하지 않았고, 설비투자는 감소하는 모습이 있었지만 이내 반등했다"고 설명했다.
김창배 한국경제연구원 연구위원은 "북한의 핵실험이 우리나라 경제에 부정적 영향을 주긴 하겠지만 아직까지는 실물시장과 금융시장에 반영이 많이 안된 것 같다"며 "여러번 하다보니 면역이 된 것 같다"고 말했다.
이어 "과거 북한 리스크가 우리나라 경제에 영향을 주었을 때를 살펴봐도 그 영향이 오래는 안갔다"며 "바로 금융시장과 실물시장에서 그 영향력이 소멸된다"고 덧붙였다.
김 연구위원은 "주식시장의 경우 그 영향력이 하루, 2~3일 내로 끝났을 때도 있었다"며 "사건의 연속성이 있으면 몰라도 단발성 이벤트는 심리적으로 불안했다 소멸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