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6 16:39 (수)
생보사들 잇딴 깜짝 실적…세제개편 특수(?)
상태바
생보사들 잇딴 깜짝 실적…세제개편 특수(?)
  • 박기주 기자
  • 승인 2013.02.07 08:5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속되는 저금리 기조로 경영악화가 예상됐던 생명보험사들이 줄줄이 눈에 띄게 높아진 실적을 발표하고 있다.

비과세 혜택 종료를 앞두고 막차를 타려는 일시납 저축성보험 가입자들과, 조금이라도 더 높은 금리를 찾는 사람들이 은행보다 금리가 높은 생보사의 저축성 보험에 몰려들었기 때문이다.

7일 보험업계에 따르면 한화생명과 동양생명은 2012 회계연도 3분기(2012년 4월~12월)까지 각각 4080억원(9.6%↑), 1087억원(48.7%↑)의 누적당기순이익을 기록했다.

생보사들의 이같은 선전은 즉시연금을 비롯한 저축성보험으로 인한 수입이 크게 늘었기 때문으로 해석된다.

한화생명의 경우 지난해 같은 기간동안 신계약의 연환산보험료 1조7120억원 중 저축성보험 보험료는 2660억원으로 15.5%의 비중에 불과했다.

하지만 올 3분기까지 한화생명의 신계약 연환산보험료 2조1120억원 중 저축성보험의 비중은 7440억원(35.2%)으로 3배 가량 수직상승했다. 단순 계산으로도 총 보험료 상승분이 저축성보험의 보험료 상승분과 거의 일치한다.

보험료는 월납·분기납·반기납·연납 등 다양한 납부 방식이 있는데 연환산 보험료(APE)는 이를 모두 연납으로 환산해 동일기준으로 만든 수치다.

저축성보험의 인기는 보험 판매 채널의 비중에서도 나타났다. 저축성보험은 대부분 은행(방카슈랑스)에서 판매가 되는데, 한화생명에 올 3분기까지 가입한 신계약 중 방카슈랑스를 통한 가입이 22.2%로 지난해(11.5%)보다 그 비중이 두 배 가량 늘었다.

반면 설계사를 통한 가입 비중은 71.5%에서 60.4%로 줄었다.

한화생명 관계자는 "즉시연금과 일시납 저축성 상품 판매 증가로 매출이 크게 증가했다"며 "최근 세재개편 이슈로 방카슈랑스 채널에 돈이 몰리며 저축성 상품의 판매 증가로 3분기 누적 연환산 보험료 중 방카슈랑스 비중이 크게 늘었다"고 설명했다.

이같은 현상은 중형 보험사인 동양생명도 마찬가지.

동양생명의 올 3분기까지 수입보험료는 2조 8513억원으로 지난 해 대비 23.1% 성장했고, 같은 기간 전체 매출액은 22.8% 증가한 3조 5478억원을 기록했다.

동양생명 관계자는 "세제개편으로 인한 일시납 저축성 상품 특수 등이 이번 매출에 영향을 미쳤다"며 "뿐만 아니라 유지비차 이익과 위험률차 이익의 안정적인 증가가 순이익 증가를 이끌었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