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기도의회 후반기 의장 선출을 놓고 민주통합당이 내분에 휩싸였다.
불출마를 선언했던 허재안 현 의장이 당내 경선 무효를 주장하는가 하면, 초선 의원이 경선에 나섰다가 탈락하자 '불복'을 선언하는 등 볼썽사나운 모습을 연출하고 있다.
3일 도의회 등에 따르면 허 의원은 지난 2일 민주당 의원들에게 보낸 '경기도의회 민주통합당 왜 이러는가?'라는 제목의 이메일을 통해 "의원총회를 열어 의장, 부의장 당내후보 선출 결과를 바로 잡아야 한다"고 주장했다.
윤화섭(안산5) 의원을 의장 후보로 뽑은 의원총회 결과에 반기를 든 것이다. 민주당은 지난달 26일 전반기 의회직을 수행한 의원에 대해 피선거권을 제한하고 경선을 실시, 윤 의원을 선출했다. 민주당은 선거 뒤 갈등을 막기 위해 후보들이 얻은 득표수는 공개하지 않았다.
이와 관련, 허 의장은 "피선거권을 제한한데다 당일 1, 2차 투표결과를 발표하지 않고, 토론도 비공개한 것은 무슨 꼼수가 있었던 것"이라고 했다.
허 의장의 이메일을 받아든 의원들 일각에서는 과거 불출마 선언을 뒤집겠다는 의중 아니겠냐는 분석이 나오고 있다.
허 의장 측은 "경선을 다시 하든지 본회의에서 의원총회 결과를 배제하고, 자유투표를 하자는 뜻"이라고 했다.
앞서 허 의장은 지난달 11일 "연임의사가 없으므로 후반기 의장선거에 나서지 않겠다"며 불출마를 선언했었다.
이런 가운데 의장 후보경선에 나섰다가 탈락한 초선의원의 돌발 행동도 이어지고 있다. 윤 의원에 뒤져 탈락한 서형열(구리1) 의원은 경선 다음날 선거무효 가처분 신청 등 법적 조치에 나서겠다며 경선 불복을 선언했다.
서 의원은 "경선의 비공개, 불투명 선거에 대한 의혹을 떨쳐버릴 수 없다"고 비판했다.
A의원은 "토론을 비공개한 것은 당선된 특정후보의 언변이 부족했기 때문이었을 것"이라고 언론에 공개 비난하기도 했다.
민주당 선관위 관계자는 "민주적 절차에 따른 결과를 두고 서 의원이 이해할 수 없는 주장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B상임위원장 등 일부 다선 의원들 사이에서도 의장단 선거가 있는 12일 본회의 때 당론을 거스르고 출마하려는 움직임도 감지되고 있다.
당내 '반란표'와 '새누리당 표'를 합해 반전을 꾀하겠다는 것이다.
도의회 회의규칙(9조)은 의장을 본회의에서 무기명투표로 뽑도록 하고 있다. 당선되려면 재적의원 과반수의 출석과 출석의원 과반수의 득표를 얻어야 한다.
따라서 도의회(131석) 다수당을 차지하고 있는 민주당(73석)이 후보를 내면 당선 가능성이 높은 상황이다.
민주당 한 의원은 "선거를 통해 도의원이 된 의원들이 대의정치의 기본을 망각하고 있는 것 같다"며 "더 이상이 다수 의원의 뜻이 퇴색돼서는 안 된다"고 안타까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