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0 16:24 (수)
한진해운 지원 놓고… 정부-한진 날 선 '신경전'
상태바
한진해운 지원 놓고… 정부-한진 날 선 '신경전'
  • 윤이나 기자
  • 승인 2016.09.07 10: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진, 정부 '제안' 거부… 1000억 독자 지원 기습 발표

 법정관리 신청으로 세계 물류대란을 야기한 한진해운의 지원 문제를 놓고 한진그룹과 정부당국간 날 선 신경전이 더욱 심화되는 양상이다. 

 
한진그룹이 정부 제안을 거부한 채 한진해운에 대한 독자 지원 결정으로 적지않은 압박을 받게된 정부와 채권단이 향후 어떤 대응에 나설지 주목된다. 
 
7일 관계당국 및 업계에 따르면 한진그룹은 지난 6일 한진해운 지원에 1000억원의 자금을 스스로 조달하겠다면서 그간 책임 있는 태도를 요구하며 압박을 가해왔던 정부와 채권단에 무언의 압력을 가한 모습이다. 정부와 여당이 이날 오전 당정회의를 통해 한진측에 담보를 전제로 자금지원 의사를 밝힌 것을 거부하면서 독자행보에 나섰기 때문이다. 
 
정부는 그간 한진해운의 대주주인 한진그룹이 이번 사태를 책임져야 한다면서 한진 측이 성의 있는 모습을 보일 경우 추가 자금 지원 등을 고려할 수 있다는 태도였다.
 
그러나 조양호 회장이 직접 400억원의 사재를 출연키로 하는 등 한진그룹이 이날 기습적으로 사실상 반격에 나서면서 채권단과 정부도 어떤 방식으로든 물류대란 해소에 직접 나서야 하는 모양새가 됐다.
 
한진그룹의 이번 결정은 정부나 채권단도 사전에 전혀 인지하지 못했던 것으로 전해진다. 한진그룹 관계자는 "갑작스럽게 내린 결정은 아니고 그룹 차원에서 이전부터 자금조달 방안을 강구해왔다"면서 "가능한 선에서 도의적 책임을 진다는 의미로 직접 자금조달을 하게 됐다"고 말했다.
 
그러나 업계 안팎에서는 한진그룹이 조 회장 사재를 포함, 스스로 자금을 마련하겠다는 입장을 밝히면서 그동안 쏟아지는 비판여론을 수용, 화답하는 제스처를 보인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여기에다 자연스럽게 정부 또한 물류대란 사태에서 자유롭지 못하다는 점을 압박하는 '일거양득' 효과를 얻는 전략적 결정을 한 것으로 파악하고 있다.
 
한진그룹은 이날 오전 당정이 한진그룹 측에 담보 조건부로 1000억원 장기저리 대출을 제안했지만 스스로 이를 마련하겠다며 고사한 것이다.
 
업계 한 관계자는 "한진해운이 이미 법정관리에 들어간 상태라 한진그룹 입장에서는 추가로 자금을 지원해야 할 법적 의무는 없다"면서 "대내외 비난 여론 확산, 거세지는 정부 압박 등으로 도의적 차원에서 자체 자금 조달을 결정한 것으로 보이는 데 이 만한 성의를 보였으니 정부와 채권단도 추가 자금 지원을 고려해야 하는 것 아니냐는 무언의 압박으로도 보인다"고 말했다.
 
현재 한진해운이 체납 중인 하역운반비 총액은 2000억원 이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해상에서 표류하고 있는 각종 화물을 육지로 옮기려면 한진그룹의 수혈자금외에 최소한 1000억원 이상의 자금이 더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한편 한진그룹과 채권단이 신경전을 벌이는 사이 운항에 차질을 겪는 한진해운 선박과 화주들의 피해는 날로 확산하고 있다.
 
한진해운이 보유한 141척의 선박 중 지난 5일 오후 5시를 기준으로 컨테이너 66척, 벌크선 7척 등 총 73척이 운항에 차질을 겪는 상황으로 알려졌다.
 
한국무역협회가 지난 1일부터 6일 오전 9시까지 접수한 수출화물 물류애로 신고 역시 119건에 달한다. 전날 32건에서 하루새 80건 넘게 급증한 숫자다. 피해 금액 또한 전날 1138만달러(약 126억원)에서 4000만달러(442억원)로 확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