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의 경제민주화 공약을 설계한 김종인 박사는 14일 박근혜 정부의 경제민주화 공약 불이행을 질타했다.
김 박사는 이날 CBS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와의 인터뷰에서 '현 정부에서는 경제민주화가 물건너갔다는 평가가 여전히 유효한 것이냐'는 질문에 "그 입장은 지금도 변함이 없다"고 답했다.
그는 특히 안종범 청와대 경제수석과 유일호 신임 부총리가 박근혜 정부의 경제민주화 공약 이행을 자평하고 있는데 대해 "왜 갑자기 그런 얘기가 튀어나왔는지 잘 이해가 되지 않는다"며 "사실 지난 3년 동안에 경제민주화라는 말은 경제팀으로부터 별로 들어본 적이 없는데. 갑자기 경제민주화를 잘했다, 80점이다, 이런 얘기를 무엇 때문에 하는 건지 배경을 잘 모르겠다"고 비판했다.
그는 "왜 그런 얘기가 나왔냐 하면 지금 사실 경제여건이 그렇게 녹록지않지 않나? 그리고 실질적으로 경제 성과에 대해서 내세울 만한 게 없다. 지난 3년 동안에. 그러다 보니까 그런 걸로 포장을 해서 얘기를 하지 않았나 그런 생각을 한다"고 박근혜 정부의 경제팀의 자평을 질타했다.
그는 "경제민주화라고 하는 것은 대통령께서 확고한 의지를 가지고 실천하는 모습이 일반 국민에게 느껴질 적에 경제민주화가 이루어지는 것이지, 그렇지 않고서는 경제민주화가 이루어질 수가 없다"며 "약간의 제도를 하나 새로 만들었다, 이런 얘기를 해서 경제민주화가 이루어지는 건 아니다"라고 박 대통령이 경제민주화 의지가 없음을 에둘러 비판했다.
김 박사는 이어 안철수 의원의 신당 창당에 대해선 "한 당에 대권을 추구하는 후보가 둘이 있으면 당 내에서 경선을 하다가 안 되면 결국 출마를 못하는 것 아니냐"며 "그러니까 그럴 가능성이 당 내에서는 잘 보이지 않으니까 밖으로 나가서 자기 기반을 만들어야겠다는 것이 안철수 의원의 생각 아니냐 이렇게 본다"고 안 의원의 탈당은 대권용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특히 안 의원측에서 야권 분열이 총선 필패로 연결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반박하고 있는 것과 관련, "그런 핑계를 많이 대는데 우리나라의 과거를 볼 것 같으면 1963년 대통령 선거도 당시에 허정과 윤보선 두 사람이 해서 선거를 패배한 것이고. 결국은 87년에 김영삼 씨, 김대중 씨가 또 피차 총선을 해서 뽑지 않고 따로 떨어져서 하다 보니까 실패하고 그런 것 아니겠나"라며 "지금 또다시 되풀이된다고 본다"고 일축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