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4 12:42 (금)
이광우 경호본부장 "계엄 전 챗GPT 국회해산 검색"
상태바
이광우 경호본부장 "계엄 전 챗GPT 국회해산 검색"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5.03.19 14: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해당 내용 검색 시간, 비상계엄 발동 이후라고 진술"
"해당 내용 검색 시간, 비상계엄 발동 이후라고 진술"
"해당 내용 검색 시간, 비상계엄 발동 이후라고 진술"

이광우 대통령경호처 경호본부장이 12.3 비상계엄 선포 2시간 전 생성형 인공지능(AI) 챗GPT에 '계엄'과 국회해산을 검색한 것으로 전해지는 가운데, 이 본부장 측은 시간의 오차가 있을 수 있다는 입장을 내놨다.

이 본부장 측 법률대리인 배의철 변호사는 19일 입장문을 내고 "이 본부장은 포렌식 과정에서 해당 내용을 검색한 시간은 비상계엄이 발동된 이후라고 진술했으며, TV를 보고 비상계엄 발표를 알게 됐다"고 밝혔다.

앞서 경찰의 구속영장 신청서에는 이 본부장이 계엄 선포 2시간 전 챗GPT에서 '계엄 선포' 등을 검색했다는 내용이 포함된 것으로 전해졌다. 이 본부장이 사전에 계엄을 인지했을 가능성이 있는 대목이다.

이 본부장 측은 "포렌식 과정에서 인터넷 검색, 텔레그램·카카오톡과 같은 SNS 사용 등에 있어 시간의 오차가 있는 경우가 발견됐고, 수사관 역시 포렌식 복원 과정에서 사용시간의 오류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고 판단한 바 있다"고 말했다.

이어 "해당 GPT 검색이 공무집행방해 내지 직권남용의 피의사실과 아무 관련이 없을 뿐만 아니라 인터넷·SNS 사용 시간의 오차가 생기는 포렌식 복원 오류를 지적하며 파일 선별 과정에서 제외되는 것이 타당하다고 지적한 바 있다"고도 덧붙였다.

한편 법원은 오는 21일 오전 10시30분 이 본부장과 김성훈 경호차장에 대한 구속 전 피의자 심문(영장실질심사)을 열고 구속 여부를 판단한다.

두 사람은 윤 대통령에 대한 1차 체포영장 집행을 방해하고, 2차 체포영장 집행 직전 대통령실 비화폰 서버 관리자에게 통신내역 삭제를 지시해 특수공무집행방해, 직권남용 혐의를 받는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