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0 16:24 (수)
민주-安, 신당 공천룰 틀짜기 어떻게 할까?
상태바
민주-安, 신당 공천룰 틀짜기 어떻게 할까?
  • 배민욱 기자
  • 승인 2014.03.18 17:16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이 신당의 정강·정책을 놓고 샅바싸움을 벌이고 있는 가운데 6·4지방선거 공천룰을 놓고도 신경전을 이어가고 있다.

일단 민주당과 새정치연합은 나눠먹기식 지분배분 없이 최적·최강의 후보를 내세우겠다는 입장에는 동의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방식에 대해선 입장이 엇갈리고 있다.

민주당은 '당원 50%+국민50%'라는 기존의 국민참여경선 방식 공천룰을 가지고 있다. 그러나 새정치연합과 한식구가 된 신당에서는 이 방식을 그대로 적용하기가 어려울 것으로 전망된다.

새정치연합이 정당 형태를 갖추지 못해 당원이 존재하지 않고 있다는게 이유다.

민주당 최재천 전략홍보본부장은 "새정치연합이 당원쪽은 대단히 취약할 수밖에 없어 (민주당 공천룰을)그대로 적용할 순 없다"며 "그렇다면 통합의 대의에 따라서 당원 중심의 정당구조가 현재로선 취약한 상황에서 그 부분에 대한 전면적인 정치적 전략적 수정이 있을 수 있다"고 밝혔다.

박광온 대변인도 "국민참여 방식으로 공천룰을 만들어 놨지만 이제 통합이 이뤄지면 아무래도 손질의 필요성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결국 쟁점은 어떤 방식으로 새 틀을 짤지가 관건이다.

당원이 존재하지 않는 새정치연합으로는 공론조사 방식의 배심원제가 가장 현실성 있는 방식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공론조사식 배심원제는 각 후보별 지지자들로 배심원단을 만들어 이들이 후보자들의 정책 발표와 토론을 지켜본 뒤 공천을 받을 후보를 최종 결정하는 방식이다.

그러나 민주당내에서는 공론조사를 일부 수용할 수 있지만 당원의 비중을 어느 정도 살려야 한다는 의견이 나오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전략공천 카드도 뇌관으로 떠오르고 있다. 새정치연합은 조직에서 밀리는 상황에서 전 지역에 일괄적으로 경선을 적용할 경우 결과물을 얻기 힘들어 보인다는 위기감이 깔려있다.

새정치연합은 일정부분 후보자 지분을 얻기를 바라는 눈치다. 특히 김상곤 교육감이 출마하는 경기도와 오거돈 전 해양수산부장관이 출마하는 부산, 호남지역에서 자신들의 몫을 원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일각에선 일정부분 서로 체면을 살려주는 선에서 주고받기가 이뤄지지 않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하지만 민주당내 후보들의 반발이 거세질 것으로 보여 상황은 녹록치 않다. 실제로 민주당에선 복수 후보가 있는 곳은 경선을 치러야 한다는 원칙론이 강하다.

양측이 만족할 수 있는 경선룰을 어떻게 만들어내느냐가 관건인 셈이다.

최 본부장은 "일단은 배심원제도를 도입해야 된다, 공론조사방식을 도입해야 된다, 여론조사 좀 더 키워야 된다 등 논쟁들이 있다"며 "광역자치단체장과 광역의원의 경우를 분리시켜서 좀 더 배정하는 방안도 있고 공론조사나 배심원조사를 좀 더 강조하는 방식도 있다. 실무적으로 논의 중"이라고 말했다.

박용진 홍보본부장은 "후보자들이 공천룰을 인정하고 동의할 수 있을 때 경선에 들어갈 수 있다"며 "빠른 시간 안에 합리적인 방법을 찾아서 국민에게 박수받는 후보 선정 과정을 보여주겠다"고 약속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