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10일 북측을 상대로 우리 측의 설맞이 이산가족 상봉 요청에 응할 것을 거듭 촉구하면서 금강산 관광 재개 논의 문제도 추후 협상 테이블에 올릴 수 있다는 입장을 밝혀 관심이 모아진다.
김의도 통일부 대변인은 이날 오전 정부서울청사에서 정례 브리핑을 갖고 “우리 측의 이산가족 상봉 재개 제의에 성의 있는 자세를 보일 것을 다시 한 번 촉구하는 바”라고 밝혔다.
그는 “북한 측이 남북관계 개선을 바란다면 말로만 인도주의 사업을 주장할 것이 아니다”며 “이산가족들이 민족의 최대 명절인 설을 맞아 더 늦기 전에 헤어진 가족들을 만날 수 있도록 해드리는 것이 도리”라고 지적했다.
아울러 “이산가족 상봉은 고령 이산가족들의 아픔을 치유하는 길일뿐만 아니라 남북관계 개선에 새로운 계기를 위한 첫 걸음이 되는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이어 이산상봉과 금강산 관광 연계 문제와 관련 “관광 재개를 위해 진상규명, 우리 국민의 신변안전문제 등이 해결돼야 한다는 그런 입장에 변화가 없다는 말씀을 다시 한 번 드린다”고 기존의 입장을 재확인했다.
다만, “남북 간에 일정이 협의가 되면, 금강산 관광 관련한 그런 게 구체적으로 제의가 되고 일정이 협의되면 관광문제도 다시 논의가 가능하다고 생각한다”며 회담 재개 가능성을 열어놓았다.
김 대변인의 이러한 언급은 이산 상봉은 인도적 차원의 문제로 금강산 관광과 연계할 사안은 아니지만, 양측이 합의할 경우 금강산 관광 문제를 추후 '협상 테이블'에 올려 관광 재개 조건을 협의할 수 있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정부는 지난 2008년 금강산에서 발발한 박왕자씨 피격 사건 이후 ▲북측의 사과 ▲진상 규명 ▲책임자 처벌 등 금강산 관광 재개를 위한 몇가지 조건을 제시해 왔는데, 이 문제를 북측과 협의할 수 있다는 것이다.
이는 금강산 관광 재개와 관련, 원론적 입장을 다시 피력한 것으로도 풀이되지만, 박 대통령의 설맞이 이산가족 상봉 제안과 "통일은 대박" 발언 이후 조금씩 달라지고 있는 우리 정부내 대북 기류 변화도 읽힌다.
그는 이밖에 '박 대통령이 신년사에서 이산가족 상봉 제안을 할 것을 알고 있었는가'는 질문에 대해서는 "신년 기자회견에서 남북관계 관련 부분은 우리 통일부하고 긴밀히 협의를 해서 내용이 들어간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