야권은 7일 코레일이 파업에 참여한 철도노조원 징계 등과 관련해 "전방위적 보복적 노조탄압"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당 홍영표 의원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원내대책회의에 참석해 "대화와 타협을 통한 해결의 정신이 사라지고 지금 정부에서는 철도공사 노조에 대해서 전방위적인 탄압으로 일관하고 있다"고 밝혔다.
홍 의원은 "현재 지난해 12월26일 노조를 상대로 116억 가압류 신청을 한 바 있다"며 "12월31일은 철도노조를 상대로 152억900만원의 손해배상 신청을 했다. 그리고 8797명을 직위 해제했고 6일 현재까지도 6824명에 대해서 직위해제 처분이 계속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는 "본사 145명, 지역본부 378명, 총 523명을 징계위원회에 회부하고 있다"며 "주요 간부들에 대한 구속영장청구 등의 전방위적인 탄압이 자행되고 있다. 당시 국민들이 파국을 맞고 대화를 통해서 해결한 것에 대해서 박수를 보냈는데 그것에 대해서 정부가 뺨을 때리는 것"이라고 말했다.
이윤석 의원은 "정부와 코레일 행태는 평화적 교섭을 원하는 노조를 자극할 뿐 아니라 대화를 통한 사태해결을 원하는 국민과 여야 정치권 노력에 찬물을 끼얹는 행위"라며 "신속한 철도정상화를 바라는 국민을 생각한다면 복귀한 노조원에 대해서 점령군처럼 행세를 해서는 안된다"고 주장했다.
박수현 원내대변인은 브리핑에서 "한 개인과 가정의 생존권이 달려있는 문제를 졸속으로 심사하는 것은 징계를 위한 징계"라며 "이 절차는 다분히 보복적인 노조 탄압이고 졸속심사"라고 지적했다.
박 원내대변인은 "철도공사의 이번 파업에 대한 무자비한 처사는 노조의 일상적인 활동마저도 중단시키려는 보복 책략이고 이후에 노사화합 속에 철도 백년대계를 만들어가고자 하는 의지가 전혀 보이지 않는 하책 중의 하책"이라고 꼬집었다.
진보정당도 힘을 보탰다.
통합진보당 홍성규 대변인은 "철도파업과 관련해 검찰과 경찰의 강경대응을 즉각 중단하라"며 "박근혜 정권은 민영화의 시작인 수서KTX 설립에 대해 원점에서 다시 검토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정의당 이정미 대변인은 "민영화 꼼수를 이미 진행하고 있으면서도 철도조합원들에게 대한 과도한 중징계만 일삼고 있는 코레일과 정부의 적반하장은 더 이상 두고 볼 수가 없는 지경"이라며 "정부는 즉각 징계를 중단해야 한다. 처벌받을 혐의는 코레일측에 있다"고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