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이 6일 내외신 기자회견에서 설을 계기로 한 이산가족 상봉 필요성을 제기함에 따라 북한이 진정성 있는 자세로 호응해올지 주목된다.
박 대통령은 이날 기자회견에서 "지난해 이산가족 상봉을 나흘 앞두고 갑자기 취소된 것은 너무도 안타까운 일이었다"면서 "이번에 설을 맞아 이제 지난 60년을 기다려온 연로하신 이산가족들이 상봉하도록 해서 마음의 상처가 치유될 수 있도록 해 주기를 바란다"고 북측에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했다.
박 대통령의 제안에 따라 주무부처인 통일부는 조만간 이산가족 상봉을 위한 남북 접식자 접촉을 공식 제안할 것으로 보인다.
남북은 당초 지난해 추석 직후인 9월 25~30일까지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금강산에서 열기로 합의했었다. 그러나 북측이 상봉 사흘전에 일방적인 무기한 연기를 통보하면서 이산가족 상봉은 결국 무산됐었다.
이후 냉각관계를 지속해온 남북관계가 이날 박 대통령의 설 이산상봉 제의로 새로운 전환점을 맞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북한이 박 대통령의 이산가족 상봉 행사 제안에 대해 진정성있는 태도로 호응할 지 여부에 따라 향후 남북교류 및 협력사업 재개 등 남북관계 개선을 위한 움직임이 크게 좌우될 것이란 관측이다.
박 대통령은 "북한이 이산가족 상봉으로 첫 단추를 잘 풀어서 남북관계에 새로운 계기의 대화의 틀을 만들어갈 수 있길 희망한다"고 언급한 것도 같은 맥락이다.
정영태 통일연구원 선임연구위원은 "박 대통령이 북한에 대해 이산가족 상봉을 제의하면서 남북관계 개선의 문을 열기 위한 화두를 던진 것"이라며 "북한이 이번 제안을 받는 행태나 진정성에 따라 여타 부문의 남북교류나 확장될 수 있는 가능성이 크다"고 평가했다.
지난 1일 북한 김정은 국방위원회 제1위원장도 신년사를 통해 남북관계 개선을 우리 정부에 촉구하고 나서 새해 박 대통령이 처음으로 제의한 이산상봉 행사 개최 제의에 북한이 동의할 가능성도 있다는 관측도 나온다.
정 선임연구원은 "지난해 12월17일 김정일 사망 2주기 추도행사에서 유일영도자로 취임한 김정은이 정책적인 능력을 과시할 필요가 있다"면서 "북한이 진정성을 우리 측에 확인시킨다면 남북관계는 지난해와 달라질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나 박 대통령이 "북한의 핵개발은 결코 방치할 수 없다"며 한반도 평화를 위한 북한의 비핵화를 요구하고 근본적인 대북 정책 기조에는 변화가 없음을 내비침에 따라 북한이 이산상봉 제안에 호응하지 않거나 금강산 관광 재개를 연계시키는 역제의할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