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박근혜 대통령은 27일 내년도 경제정책방향과 관련해 "경기회복이 지속가능한 성장으로 이어지기 위해서는 무엇보다 내수경제를 활성화해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은 이날 오전 정부세종청사에서 2014년 경제정책방향 논의를 위한 경제관계장관회의를 주재한 자리에서 "내수부진이 지속되면 우리 경제의 변동성도 커지고 또 중소기업이라든가 서민이 체감하는 경기도 지연이 될 수 밖에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박 대통령은 내수경제 활성화를 위해 "민간이 주도하는 경제를 만들어가야 하겠다"면서 민간투자와 민간소비 활성화 방향을 제시했다.
박 대통령은 민간투자와 관련해 우선 "보건의료, 교육, 관광, 금융, 소프트웨어 등 5대 융합 서비스산업 육성을 위한 규제개선은 내년에도 지속적으로 추진해야 한다"며 "사실 이런 서비스산업에서 일자리가 생기는 것인데 이걸로 막고 저걸로 막으면서 일자리를 만들어내야 한다는 것은 굉장한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이어 "일자리가 하늘에서 뚝 떨어지는 것도 아니고 우리가 노력해서 규제를 풀고 집중을 하지 않으면 일자리는 결코 만들어지지 않는다"며 "서비스업은 청년들이 선호하는 일자리 창출은 물론 제조업과의 융복합으로 생산성까지 높여 경제 전반의 체질을 강화하는데도 도움이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박 대통령은 또 "OECD 평균에 못미치는 외국인 투자가 우리의 투자 잠재력에 걸맞는 수준으로 활성화되도록 관련 제도를 대폭 개선해 가야 한다"며 "마지막으로 경제활성화의 온기를 대기업과 수도권 중심에서 중소기업과 지방까지 확산되도록 노력을 기울어야 하겠다"고 강조했다.

박 대통령은 "다주택자 양도세 중과 등 더이상 유효하지 않은 주택시장 규제를 과감히 풀어 매매시장을 활성화하고, 임대주택 공급과 월세 소득공제 확대 등 수급 양면의 다각적 대책을 통해 서민들이 빚을 안내고도 주거가 안정되도록 해야 하겠다"며 "원리금 상환부담이 큰 저소득층에 대한 저금리 대출 등 지원도 보다 체계적으로 추진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민간과 내수 주도의 경기회복을 뒷받침하기 위해서 정부는 올해와 같은 거시정책 기조를 유지하고 양적완화 축소, 신흥국 경기 둔화, 엔저 등 세계경제 위기에도 적극 대응해 나가야 한다"고 부연했다.
박 대통령은 내년도 경제정책방향으로 내수경제 활성화와 더불어 '일자리를 통해 희망을 주는 경제', '미래를 준비하는 경제' 등도 제시했다.
일자리와 관련해 "상대적으로 개선이 청년과 여성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서 정책적 노력을 집중해야 할 것"이라며 "시간선택제 일자리가 여성으로부터 시작해 전반으로 확산되도록 적합 업종과 사업장을 적극 발굴하고 근로 조건을 개선해야 할 것"이라고 언급했다.
박 대통령은 이와 함께 "앞으로 다가올 변화에 대비할 미래를 준비하는 경제를 만들어야 한다"며 "해외진출 전략을 한차원 업그레이드하고 창조경제를 뿌리내려서 경제체질을 근본적으로 바꿔가야 한다"고 말했다.
박 대통령의 정부세종청사 방문은 지난 4월 국토교통부 및 환경부 업무보고 때에 이어 취임 후 이번이 두 번째다.

이어 "무엇보다 국민행복, 국가발전을 선순환하는 그것이 선순환하는 경제패러다임을 우리가 중시하고 있는 만큼 명실상부하게 그런 선진경제를 자리매김하는 그런 시대를 이곳에서 열어야 되겠다"고 덧붙였다.
한편 박 대통령은 이날 회의 뒤 정부세종청사 4동에 위치한 기획재정부 사무실을 방문해 공무원들을 격려하고 신청사 이전에 따른 애로사항을 청취했다.
이어 세종청사 내 직장어린이집인 '예그리나 어린이집'을 방문해 보육환경을 둘러보고 교사와 학부모, 어린이들과의 대화도 가졌다.
세종청사 5동에 위치한 농림축산식품부 직원식당에서는 정홍원 국무총리와 각 부처 장관, 이전부처 공무원 124명, 어린이집 교사, 구내식당 영양사, LH 관계자 등과 오찬을 함께 하며 세종시 근무와 생활여건 개선, 행정비효율 해소 등에 대한 대화를 나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