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더불어민주당은 오는 11일 대구·경북 순회경선부터 대의원 현장투표를 온라인과 ARS투표로 전환하기로 했다.
민주당은 6일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를 열고 이같이 결정했다.
이상민 선관위원장은 위원회 직후 브리핑에서 “특별당규 51조에 따라 전국대의원은 현장 투표를 하게 돼 있지만 재해 재난 등이 있을 경우 선관위 의결로 현장 투표로 바꿀 수 있다는 규정에 따라 온라인과 ARS투표로 전환하려고 의결 했다”고 말했다.
민주당 특별당규인 제20대 대통령 선거 후보자 선출 규정 제51조(투표방법)에 따르면 전국대의원은 순회경선 일정에 따라 순회(현장) 투표를 실시한다.
권리당원 선거인단은 순회일정에 따라 온라인투표와 ARS투표를 병행한다.
다만 재해와 재난 등 상당한 사유가 있을 경우 선관위 의결로 순회(현장) 투표를 다른 투표 방법으로 대체할 수 있다.
이 위원장은 “두 지역 순회 합동 연설과 현장 투표를 보면 방역에 위험이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와 현장성을 살려야 한다는 의견이 엇갈린다. 이것에 대한 평가를 하기 쉽지 않다”면서도 시급성과 소모적 논의 방지를 위해 선관위가 결단했다고 설명했다.
그는 이번 결정을 지도부와 후보 측의 영향력을 받지 않은 선관위 차원의 결정이라고 설명했다. 후보 6명 중 3명이 현장투표를 고수했지만 내부 소통 끝에 위임 의사를 받았다고도 했다.
이 위원장은 “(선관위는) 앞으로도 당규를 기본적으로 지키는 것은 물론이고 후보자, 당 지도부의 입김과 영향력이 있을 수 있지만 거기에 좌지우지될 수 없고 독자적이고 당규와 기본에 맞춰서 (결정) 할 것이라는 것을 다시 확인했다”고 강조했다.
이어 “후보 6명 중 4명은 현장 투표를 원했고 2명은 선관위 결정에 따른다는 유보적 입장이었다”며 “정세균 후보가 최근 입장을 변화했고 3 후보는 현장 투표를 고수했지만 오늘 선관위에 이르기까지 많은 소통을 해서 위원장에게 투표 방법을 위임한다는 뜻을 표시했다”고 부연했다. 이 위원장은 “후보 측과 이견 없이 잘 될 것 같다”고도 했다.
한준호 원내대변인은 지역 순회경선 관련 방송토론 장소도 정해졌다고 전했다.
그는 “방송토론 권역별 장소가 정해졌다”며 “장소는 코로나19 상황이 조금 더 악화되기 전에 잡은 곳으로 상황이 맞지 않는 곳은 일부 변경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그는 서울 지역과 관련해서는 장소와 일정 모두 정해지지 않았다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