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내 첫 환경분야 다자회의 '2021 P4G 서울 녹색미래 정상회의'가 30일부터 이틀간 공식 일정에 들어간다.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한 주요국 정상급 인사들과 국제기구 수장들은 화상회의 형태로 기후위기 대응과 탄소중립 실현 방안을 모색한다.
P4G는 '녹색성장 및 유엔의 지속가능발전 글로벌 목표 2030을 위한 연대'의 약자다. 정부 기관과 국제기구, 민간 기업, 시민사회 간 파트너십을 토대로 기후변화 대응과 지속가능한 발전 목표 달성을 위해 결성된 글로벌 협의체다.
한국은 덴마크, 네덜란드, 인도네시아, 베트남, 남아프리카공화국, 케냐, 멕시코, 칠레 등 대륙별 대표 12개국과 P4G 공식 회원국으로 참여하고 있다. 문 대통령은 2018년 10월 덴마크 코펜하겐에서 열린 1차 정상회의에 참석해 P4G의 포용 정신을 지지한 바 있다.
2019년 9월 유엔총회 참석 계기로 2020년 6월 2차 P4G 정상회의 유치에 성공했지만, 코로나19 팬데믹 여파로 1년 연기됐다. 화상 회의 형태로 절충점을 찾은 2차 P4G 정상회의는 문재인 정부에서 개최한 두 번째 다자회의이자, 한국에서 처음 개최하는 환경분야 다자회의라는 의미를 갖게 됐다.
이번 정상회의에는 정상급 42명, 고위급 5명, 국제기구 수장 21명을 더해 총 68명의 인사가 참가한다. 참석 정상의 규모만 놓고 봤을 때 1차 회의(5명·한국·덴마크·네덜란드·베트남·에디오피아)의 규모를 훨씬 뛰어넘는다.
주요국 가운데에서는 영국(보리스 존슨 총리), 독일(앙겔라 메르켈 총리), 프랑스(엠마뉘엘 마크롱 대통령) 정상이 참가자 명단에 이름을 올렸다. 유럽연합(EU) 집행위원장과 상임의장, 유엔 사무총장,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사무총장, 국제통화기금(IMF) 총재, 세계경제포럼(WEF) 회장도 참가한다.
미국·캐나다·중국·일본·싱가포르·멕시코 5개국에서는 정상이 아닌 고위급 인사가 참가한다. 미국은 조 바이든 대통령 대신 존 케리 기후특사가, 중국은 시진핑(習近平) 중국 국가주석을 대신에 리커창(李克强) 중국 국무원 총리가 참가한다. 일본에서는 장관급인 고이즈미 신지로(小泉進次郎) 환경대신이, 멕시코는 경제장관, 캐나다와 싱가포르는 환경장관이 각각 참가한다.
31일까지 이틀 동안 진행되는 이번 정상회의는 정상급 및 고위급이 녹화 메시지를 전하는 정상 연설세션과 정상급이 실시간 화상 회의로 참가하는 토론 세션 등 크게 2개 세션으로 나뉘어 진행된다. 그 밖에 P4G 기본 주제(농업·식량·물·에너지·도시·순환경제)를 논의하는 기본 세션, 한국의 관심 주제(탄소중립 실천·그린뉴딜·산림·녹색금융) 등을 논의하는 특별 세션이 열린다.
케리 기후특사와 리커창 총리는 이날 오후 예정된 김부겸 국무총리 주재의 정상연설 세션에 사전 녹화 영상 메시지를 보내는 형태로 참여한다. 31일 예정된 문 대통령 주재의 토론 세션에서는 녹색회복, 탄소중립, 민관 협력 등에 대한 정상급 인사들의 의견 교환이 실시간으로 이뤄질 예정이다. 토론세션 뒤에는 참가국의 공동의지를 담은 '서울선언문'이 채택될 예정이다.
서울선언문에는 ▲코로나19와 기후위기 극복을 위한 국제사회의 협력·연대·지원 필요성 ▲온실가스 감축을 위한 파리협정 이행 ▲지속가능발전목표 달성을 위한 경제·사회 분야의 전환 및 실천 노력 ▲기후환경 문제 해결을 위한 시민사회의 역할 및 친환경 기업경영 확대 ▲해양오염 문제 해결을 위한 국제협력 필요성 등의 내용이 포괄적으로 담길 것으로 전망된다.
이번 회의는 2030년까지 국가온실가스감축목표(NDC)를 담은 파리기후협정 이행 원년에 열린다는 점에서 의미가 깊다. 파리기후협정이 유엔 가입 195개국 모두가 탄소중립 이행에 동참하는데 의의가 있었다면, 이번 P4G 정상회의는 구체적인 방법론을 모색하는 토론의 장으로 볼 수 있다.
또 6월 영국 주요 7개국(G7) 정상회의, 11월 제26차 유엔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COP26) 등 기후변화 대응을 논의하는 정상외교 무대가 이어진다는 점에서 중간에 개최하게 된 이번 P4G 정상회의가 각국의 주도권 확보를 위한 치열한 외교전의 전초전 성격을 띄게 된 것도 특징이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번 정상회의 개최는 기후변화 대응 선도국으로서 우리의 위상과 입지를 강화하고, 책임 있는 역할을 다할 수 있는 기회"라며 "우리나라의 기후변화 대응 리더십을 국제사회에 알리고, 기후대응 취약국에 롤 모델을 보여줄 수 있는 계기가 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