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는 7일 고(故) 최숙현 트라이애슬론(철인3종경기) 선수 사망 사건을 계기로 불거진 체육계 가혹행위와 관련해 "가해행위를 이해하려 하지 말고 피해자 중심으로 생각해야 한다"며 "반복되는 폭력을 막기 위해서는 선분리·후조사 체계 정립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안 대표는 이날 국회에서 당 싱크탱크인 국민미래연구원이 주최한 '선수폭력 근절과 보호 안전망 대책' 긴급 간담회에서 "현행법에서 피해선수와 가해지도자의 분리에 대한 내용이 없다"며 이같이 지적했다.
그는"선수가 지도자에게 종속된 상황이 유지되는 한 제대로 된 조사나 피해자 보호가 가능할 리 없다"며 "피해를 당했다는 신고가 발생한 즉시 우선 분리를 의무화할 수 있도록 법적 근거와 요건을 강화해야 한다"며 국민체육진흥법 개정을 촉구했다.
안 대표는 "가해자가 왜 가해를 했는지, 가해자를 처벌하면 어떤 일이 벌어지는지를 생각하지 말고, 피해자가 왜 생겨나는지, 피해자가 구제 과정에서 어떤 고통을 겪는지, 피해 재발을 막기 위해 어떤 노력이 필요한지를 생각해야 한다"며 "이것이 '피해자 중심주의' 접근방식이다. 이제부터는 피해자 중심주의로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한다"고 했다.
또 "체육지도자가 일선 학교나 팀에서 일하기 위해서는 자격 취득을 의무화해야 한다"며 "실제로 이번에도 아무런 자격도 없는 사람이 '팀 닥터'라는 이름으로 최 선수에게 가혹행위를 반복했다. 취업할 때 체육지도자 자격증 취득이 의무화되어 있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명백한 허점"이라고 지적했다.
그는 "스포츠윤리센터는 혐의가 확인되면 반드시 고발하도록 하고, 국가인권위원회 등이 센터를 감독하도록 해야 한다"며 "나아가 스포츠인 인권감독관과 같은 핫라인을 설치하고, 센터의 업무수행에 대해 국가인권위원회가 감독하도록 해서 직무유기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는 방안도 검토해 보아야 한다"고 제안했다.
한 참석자는 "트라이애슬론이라는 종목 자체가 비인기 종목이고, 국제무대에서 국내 선수들 실적이 없는 종목이라 관리의 울타리 밖에 있는 부분이 있다"며 "코치나 팀닥터에 대해 주기적으로 재교육을 하고 있는가, 선수들의 인권이나 윤리 등을 꼼꼼히 따지고 있는지를 체크를 해 볼 필요가 있다. 지도자도 마찬가지로 지속적 교육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또 다른 참석자는 "선수들이 팀 밖으로, 합숙소 밖으로 나가지 못하는 이 폐쇄성을 어떻게 깰 수 있을지 대안을 생각해봐야 한다"며 "선수들에게 다른 대안이 없다, 인생 대안이 없다고 생각하는 이 두 가지 문제가 성과 중심주의와 함께 가장 큰 원인이라고 생각한다"고 했다.
간담회에선 "스포츠 혁신위원회를 구성해서 노력들을 하고 있지만 구성 면면을 보면 모두 스포츠 관계자들 밖에 없다"며 "스포츠는 이미 공공재로써 사회적 기능을 하고 있다. 다분야의 전문가 그룹으로 재구성을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도 나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