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해 여지 있으니 사실관계 알리는 게 필요하단 취지"
"정부 정규직화 가이드라인 추진 문제 없는지 점검해야"

더불어민주당은 25일 최근 공정성 문제로 논란이 된 인천국제공항공사(공사)의 비정규직 정규직화 사태와 관련해 청년세대가 가진 분노 원인에 대한 정확한 사실관계 확인이 먼저라는 방침을 세웠다.
민주당 윤관석 정책위원회 수석부의장은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정책조정회의 비공개 회의에서 "정규직화가 청년 일자리, 취준생의 자리를 뺏는다는 프레임은 오해 여지가 있으니 더 알아봐야 한다. 관계기관에 팩트체크를 해서 사실관계를 알리는 게 필요하다"는 취지로 발언한 것으로 전해졌다.
윤 수석부의장은 "문재인 정부의 공공기관 비정규직 정규직화가 가이드라인에 따라 진행되고 있는데, 정부도 대책을 면밀히 세워 정책을 추진하는 과정에 문제가 있는지 점검할 필요가 있는지 확인해야 한다"고도 언급했다.
공정성 논란에 대한 당 차원의 입장을 밝히기 전 사실관계 확인이 우선이라는 것이다.
앞서 공사는 지난 22일 보안검색요원 1902명의 신분을 청원경찰로 바꿔 직접 고용(직고용)하기로 했다고 밝힌 바 있다. 그러나 이번 결정에 대해 기존 정규직원들과 입사시험을 준비하던 취업준비생들이 '역차별'을 받는다는 이유로 반발해 후폭풍이 이어지고 있다.
지난 23일 청와대 홈페이지에 올라온 '공기업 비정규직의 정규직화 그만해달라' 국민 청원은 게시 하루 만에 청와대 공식 답변 요건인 동의 청원 20만명의을 넘겼다.
미래통합당과 정의당도 형평성 논란을 문제삼으며 정부와 집권여당의 책임있는 대책 마련을 촉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같은 청년 세대 분노와 정치권의 압박에도 불구하고 민주당이 현재까지 뚜렷한 입장을 밝히고 있지 못하는 것은 비정규직의 정규직화를 가인드라인 삼은 청와대와 각을 세우기 어려운 탓으로 보인다.
황덕순 청와대 일자리수석은 이날 오전 tbs 라디오 '김어준의 뉴스공장' 인터뷰에 출연해 "현재 공사에 취업준비를 하는 분들의 일자리와는 관련이 없다"면서 "이 직종은 기존의 보안검색직원, 소위 비정규직으로 일하시던 분들의 일자리를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것"이라고 해명했다.
윤 부의장도 비공개 회의에서 "청년 일자리를 뺏는 것과는 전혀 상관없다"며 청와대와 같은 목소리를 냈다.
이와 관련해 그는 출입기자단에 문자 메시지를 보내 "20대 젊은이들이 분노를 보이고 있으니, 분노의 핵심이 뭔지 볼 필요가 있다는 취지"라며 "이게 사실관계의 오해인지 취업난에 대한 고민인지 자세히 들여다봐야 한다는 의도였다"고 설명했다.
당 차원의 입장 표명과 관련해선 "현재로선 당에서 입장 표명할 때는 아니다"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