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19 16:21 (화)
檢, '사초 실종' e지원 등 압수물 복사 모두 끝내
상태바
檢, '사초 실종' e지원 등 압수물 복사 모두 끝내
  • 이원환 기자
  • 승인 2013.08.28 14:0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팜스, 외장하드 이어 e지원 사본 2개 이미징 마쳐

남북정상회담 회의록 폐기 의혹 사건을 수사 중인 서울중앙지검 공안2부(부장검사 김광수)는 28일 e지원(e知園·참여정부 청와대문서관리시스템) 백업용 사본(NAS)에 대한 이미징을 끝냈다고 밝혔다.

이로써 검찰은 앞서 이미징을 마친 팜스, 외장하드, 봉하마을 e지원 등 수사에 필요한 핵심 자료에 대한 분석에 들어갔다.

검찰 관계자는 "기본 이미징은 다 끝났고 일부 파일이 좀 남아있어 작업 중이다"라고 말했다.

다만 외장하드의 경우, 각 자료마다 별도로 암호가 걸려 있어 열람하기 전 일일이 해독을 해야하기 때문에 본격적인 분석에 착수하기 위해선 다소 시일이 걸릴 것으로 검찰은 보고 있다.

검찰은 우선 18만5000여건의 전자지정기록물이 담긴 팜스와 15만5000여건의 비전자지정기록물이 보관된 지정서고 자료물에 대한 분석을 마치는 대로 e지원을 재구동할 계획이다. 회의록이 발견되더라도 자료의 변형 유무나 등을 확인하기 위해 e지원을 구동한다는 방침이다.

검찰은 팜스, e지원 등에 대한 열람을 통해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해북방한계선(NLL) 포기 발언을 언급한 내용이 담긴 회의록이 실제로 존재하는지, 회의록이 존재하지 않는다면 고의적인 폐기인지 혹은 시스템 결함이나 관리소홀로 인한 오류인지 등을 살펴볼 계획이다.

이와 함께 압수물 분석이 진척되는 대로 참여정부 시절 기록물 생산, 이관 등을 담당한 30여명을 차례로 소환할 계획이다.

검찰은 수사 초반부터 신속한 분석 작업을 위해 기록물 생산, 이관 등을 담당한 참여정부 관계자 등에게 출석을 종용했지만, 민주당 측은 수사에 일절 협조하지 않기로 입장을 정리했다.

검찰 관계자는 "현재 소환에 불응하더라도 수사에 크게 지장받는 건 아니지만 e지원을 관리하고 만든 핵심 관계자들이 나와서 설명하면 작업이 빨라질텐데 아쉽다"며 "검찰의 협조 자체를 거부하고 있는 것 같다"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