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전두환 전 대통령의 미납 추징금을 수사 중인 검찰이 이번 주부터 전 전 대통령 가족에 대한 소환에 나설 것으로 전망된다.
서울중앙지검 전두환 일가 미납 추징금 특별환수팀(팀장 김형준 부장검사)은 이르면 이번 주초부터 전 전 대통령의 차남 재용씨 등 자녀들을 잇달아 소환하는 계획을 검토 중인 것으로 25일 알려졌다.
재용씨는 외삼촌인 이창석씨로부터 500억원 상당의 경기 오산시 양산동 땅 49만5000㎡를 자신이 보유한 삼원코리아, 비엘에셋 등을 통해 편법으로 증여받은 의혹을 받고 있다.
검찰은 이씨가 오산 땅을 매각하는 것처럼 꾸며 불법 증여하는 과정에서 재용씨와 법인세 포탈을 공모한 것으로 의심하고 있다.
또 이씨가 선친인 이규동(전 전 대통령의 장인)씨로부터 물려받은 것이라고 주장하는 오산 땅이 사실상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으로 사들인 뒤 관리해오다가 재용씨에게 증여했을 가능성도 없지 않다.
검찰은 아울러 재용씨가 대표이사인 비엘에셋의 설립·운영 자금으로 비자금이 유입됐거나 자금세탁이 이뤄졌는지를 확인하고자 관련 자금흐름을 분석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검찰은 이외에도 장남 재국씨와 삼남 재만씨 등에 대해서도 조만간 소환조율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재국씨는 시공사, 허브빌리지 등을 운영하는 과정에서 횡령, 탈세하고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으로 고가의 미술품을 사고 해외 페이퍼컴퍼니(블루아도니스·Blue Adonis Corporation)를 통해 비자금을 은닉·관리한 의혹을 받고 있다.
재만씨도 미국 캘리포니아주 나파밸리에 소재한 와이너리(와인 양조장) '다나 에스테이트'의 설립·운영 자금의 성격을 놓고 전 전 대통령의 비자금과 연관된 건 아닌지 의심을 받고 있다.
검찰 안팎에서는 전 전 대통령 일가에 대한 압수수색이 이뤄진 지 한 달이 지났고, 광범위한 주변인물 조사를 통해 기본을 탄탄히 다진 만큼 전 전 대통령의 가족을 소환하는 것은 사법처리 절차에 들어간 것이라는 해석이 적지 않다.
다만 검찰이 중점을 둔 목표가 미납 추징금 전액 환수인 만큼 전 전 대통령의 자녀에 대한 사법처리 가능성을 일종의 압박카드로 활용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전 전 대통령이 자녀들이 연이어 줄 소환되면 심적 부담이 상당할 것이라는 분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