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국정원 댓글 의혹 사건 등의 진상규명을 위한 국정조사 특별위원회는 19일 오전 10시께 2차 청문회를 열고 국정원 전·현직 직원을 비롯해 경찰 관계자 등을 상대로 조사를 벌인다.
앞서 여야는 원세훈 전 국정원장, 김용판 전 서울경찰청장을 포함한 29명의 증인과 여야 각각 3명씩 요청한 참고인을 확정지은 바 있다.
이날 청문회에는 지난 16일 청문회에 출석한 바 있는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 불출석 사유서를 낸 민주당 소속 당직자 백모씨 등을 제외한 나머지 증인이 모두 나설 것으로 보여 여야간 공방이 치열할 것으로 예상된다.
세부적으로 살펴보면 이종명 전 3차장, 민병주 전 심리전단 단장, 박원동 전 국익정보국장, 국정원 여직원 김모씨 등 국정원 관계자 5명이 출석할 예정이다.
청문회에 출석한 국정원 직원들은 얼굴과 이름 등 신원 정보가 공개돼서는 안된다는 직무 특성상 신변노출을 방지하기 위해 커튼속에서 증언을 하게 될 것으로 예상된다.
그동안 새누리당 측에서는 국정원 직원들을 상대로 한 청문회를 비공개로 해야 한다는 주장을 펼쳐왔지만 야당측에서 해당 증인들의 신원 노출 방지책을 마련한 상태에서 청문회를 공개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해왔다.
또 경찰의 댓글사건 수사 축소·은폐 의혹과 관련된 인사들도 이날 청문회에 모습을 보인다.
최현락 전 서울경찰청 수사부장, 이병한 전 서울경찰청 수사과장, 이광석 전 수서경찰서장, 권은희 전 수서경찰서 수사과장, 서울경찰청 분석관 등이 그 대상이다.
아울러 현역 의원 중 유일하게 국정조사 증인으로 출석하게된 민주당 강기정 의원과 민주당 소속 인사, 표창원 전 경찰대 교수 등 6명의 참고인 등도 증언대에 설 것으로 예상된다.
새누리당 측에서는 이날 국정조사에 증인으로 출석한 국정원 전 직원인 김상욱·정기성씨 등을 상대로 민주당의 매관매칙 의혹을 부각시키는데 총력을 다할 것으로 예상된다.
특히 국정원 여직원 김모씨를 상대로 당시 심경 등을 묻는 등 민주당측의 여직원에 대한 감금 및 인권유린 의혹도 집중 거론할 것으로 관측된다.
민주당 측에서는 박원동 전 국익정보국장과 김 전 청장이 지난해 12월16일 경찰 수사결과 발표 직전에 통화를 한 부분에 대해 집중 추궁할 것으로 보인다.
또 권은희 전 수사과장 등을 상대로 수사 과정과 발표 시점에서 윗선의 압력 등이 실제로 있었는 지 여부도 함께 점검할 예정이다.
이날 청문회를 통해 여야가 이번 국정원 대선 개입 사건과 관련해 국민적 의혹을 해소할 수 있을 지 여부에 정가의 관심이 쏠린다.
한편 이날 청문회 증인으로 참석한 증인들 중 현재 재판이 진행중인 인사들은 국민 기본권인 방어권 등을 이유를 내세워 원 전 원장과 김 전 청장과 마찬가지로 증인 선서를 거부할 것으로 알려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