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0 16:24 (수)
세종시 올해안 대학 2곳 선정
상태바
세종시 올해안 대학 2곳 선정
  • 김지원 기자
  • 승인 2013.08.14 12:0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행정중심복합도시(행복도시) 민간 투자자에게 토지대금 무이자 할부, 원형지 토지공급 등 혜택이 주어진다. 올해 안에 유치할 대학 2곳도 선정된다.

국토교통부와 행복도시건설청은 행복도시가 지속 성장해 명품 도시로 조성될 수 있도록 14일 경제관계장관회의를 통해 '행복도시 자족기능 확충 종합대책'을 발표·추진하기로 했다.

이번 대책은 ▲투자·유치 제도·기반 조성 ▲시설별 맞춤형 유치 추진 ▲추진체계 구축 및 유치활동 강화 등을 추진 전략으로 세부 방안을 담고 있다.

우선 투자·유치 제도·기반 조성을 위해 행복도시 내 입주하는 민간투자자에 대해 토지대금 무이자 할부, 수익성 토지와 패키지 공급, 원형지 토지 공급 등이 가능하도록 행복도시 토지공급지침을 개정한다.

또 시설별 맞춤형 유치를 위해 대학의 경우 사업계획을 제출한 5곳(KAIST, 고려대, 충남대, 한밭대, 공주대) 중 2곳 내외를 올해 선정·유치한다. 기업의 경우 도시형 첨단산업단지(70만㎡) 개발, 지식산업 센터 설립 지원 등을 통해 벤처기업을 유치하기로 했다.

병원은 지난 3월 개원한 충남대 세종의원 외에 500병상 규모의 종합병원과 의료 R&D 기능을 갖춘 첨단 병원을 유치할 계획이다. 입주 확정된 이마트, 홈플러스 등 대형 유통시설은 연내 착공, 내년 중 개점한다. 호텔, 백화점, 공공기관 등 자족기능 확충을 위한 필요 시설은 지속 유치할 방침이다.

국토부 관계자는 "(계획대로 추진되면) 대학의 경우 3000명 직접고용 창출, 약 2만명 인구유입 효과가, 기업은 1만명 고용창출과 연간 1조4000억원 생산 유발 효과가, 종합병원(500병상 기준)은 2600억원 생산유발, 3500명 고용 유발 효과가 발생한다"고 설명했다.

국토부와 행복청은 이번 대책이 일자리 창출과 인구유입, 지역 경제 활성화의 토대가 될 수 있도록 행복청 내 투자유치전담 팀을 신설하고 국무조정실을 중심으로 투자협력 체계를 구축한다. 투자가이드북 배포 등 해외투자 활동도 강화하기로 했다.

아울러 올해내 토지공급지침을 개정하고 내년초까지 재정 지원의 세부적인 기준을 마련한다. 하반기부터 종합대책에 따른 투자유치활동을 본격 추진할 계획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