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새누리당 황우여 대표는 8일 대통령과의 회담 형식과 관련, 민주당에 새로운 제안을 내놨다.
회담 의제에 원내 문제를 포함시킨다면 박근혜 대통령의 제안대로 5자 회담(대통령과 여야 대표·원내대표)을, 원내 문제를 제외한다면 자신이 제안한 3자 회담(대통령과 여야 대표)을 하자는 '조건부 안'이다.
황 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 참석해 "원내 문제가 포함됐다면 5자 회담을, 아니면 민주당이 그동안 정례화하자고 줄기차게 주장해온 3자 회담을 해 의견을 교환하는 자리를 속히 만들어야겠다"고 밝혔다.
앞서 '대통령과의 담판'을 먼저 요구한 민주당은 이어진 황 대표의 3자 회담 제안에는 긍정적인 반응을 보여왔다. 황 대표가 이번에 내놓은 카드는 3자 회담에 '원내 문제 논의를 제외한'이라는 조건을 붙인 것이다.
민주당 김한길 대표가 박 대통령의 5자 회담 제안을 거부, 단독 회담을 거듭 요구한 가운데 황 대표의 제안이 어떤 변수가 될지 주목된다.
황 대표는 "청와대가 5자 회담을 하자고 했는데, '야당이 제안한 의제 중에는 원내대표 소관 업무 대부분이니 원내대표가 참여해야하고 실제로 행정부의 수장으로서 대통령이 직접 대답하기 어렵다'는 생각이 묻어나고 있다"며 "실제로 원내 일을 대통령과 의논하는 것은 가급적 피해야 한다. 나쁜 선례가 될 것"이라고 새로운 제안의 배경에 대해 설명했다.
그는 "야당은 5자 회담을 거부하려면 회담 의제 중 원내 일이 없음을 먼저 밝히는 것이 순리"라며 "보다 근본적으로는, 야당 대표가 대통령과의 단독 회담을 통해 뭘 하려는지 분명히 사전에 그 성격을 밝혀야 한다"고 강조했다.
황 대표는 민주당의 단독 회담 요구에 대해 "정치를 대통령에게 응집하려는 생각"이라며 "민주주의를 확립하는 시기에 국회의 일을 대통령과 담판짓겠다는 것이나 정당의 일을 대통령으로부터 풀려는 사고는 민주주의 발전 과정에서 문제가 있다"고 질타했다.
그는 이어 "물론 대통령과 여야 대표를 포함한 의원들이 자주 회동하며 의견을 교환하는 일은 중요하다"면서 "그러나 마치 현안을 최종적으로 대통령에게 해결하려는 식은 국회 안에서 또는 정당 간 해결할 일을 밖으로 끌고 나간다는 국민의 지적을 받지 않을 수 없다"고 말했다.
황 대표는 한편 민주당의 장외투쟁을 비판하며 이를 방지할 수 있는 제도가 필요하다면 입법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국회선진화법으로 집권 여당이 일방 강행해 운영하는 것이 없는데도 거리로 나가는 것은 여야 모두 재고가 필요하다"고 했다.
황 대표는 "국회 선진화법으로 몸싸움이 사라졌지만 우리가 걸어가야 할 정치선진화의 길은 여기서 끝나지 않았다"며 "더 이상 장외투쟁의 이름으로 의회 밖 거리에서 정치활동을 하는 것은 조심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