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진작가 김한용은 1947년 '국제보도' 사진기자로 사진계에 첫발을 내딛은 이래 보도와 예술, 광고 등 다양한 장르를 넘나들며 평생을 사진 작업에 매진한 인물이다.
'광고사진의 대부'로 불리기도 한 그는 한국 광고사진의 선구자인 동시에 흑백 기록사진의 대가로 인정받고 있다.
서울역사박물관은 28일부터 5월5일까지 1층 기획전시실에서 '김한용의 서울풍경' 전을 개최해 작가의 예술적 성과를 내보인다.
김한용이 찍은 미공개 서울 관련 사진 다수와 광고포스터 등 약 220여점의 자료가 공개되는 전시회는 1부 '도시의 기억'과 2부 '미인의 초상'으로 구분된다.
먼저 '도시의 기억'에서는 한국전쟁 전후의 모습이 담긴 대형 파노라마 사진이 주목된다.
김한용은 남산에서 가까운 충무로에 '김한용 사진연구소'를 운영하면서 수시로 남산에 올라가 같은 장소에서 똑같은 시야로 서울파노라마 사진을 찍었다.
한국전쟁으로 서울이 파괴되기 직전인 1940년대 후반부터 2000년대에 이르기까지 약 60여년에 걸쳐 세월의 흐름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파노라마 사진들은 카메라 기종에 따라 적게는 6장, 많게는 36장을 이어 붙여 만들었다. 전시에서는 7점의 대형 서울파노라마 사진이 선보인다.
수원비행단 소속 대대장의 도움으로 헬기를 타고 촬영한 다수의 서울 항공사진도 눈길을 끈다.
당시는 서울상공의 촬영이 거의 금지된 시절이었던 만큼, 사진작가가 촬영한 이 항공사진들은 아주 희귀한 예라고 할 수 있다고 서울역사박물관측은 전했다.
현재는 사라진 8층짜리 반도호텔이 최고 고층건물로 보이는 1950년대의 서울 설경, 옛 동화백화점(현 신세계 백화점) 전경과 오발탄이 한창 상영 중인 국제극장의 야경도 감상할 수 있다.
'미인의 초상'은 이번 전시회에서 일반인들이 가장 흥미를 가질 만 하다.
김한용이 촬영한 사진으로 제작한 광고 포스터 70여점과 광고 속에 등장하는 당시의 상품들이 전시된다.
현재는 원로 배우로 활동하고 있는 사미자, 태현실, 장미희, 배삼룡, 최불암, 백일섭씨 등의 눈부신 청춘을 눈앞에서 확인할 수 있다.
전시 개막식은 28일 3시에 진행된다. 유명 광고모델로서 당시 김한용의 카메라 앞에서 야성미를 뽐내던 섰던 최불암씨가 전시를 기념하는 축사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