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22 16:37 (화)
서울 SSM 10년간 14배 증가 267곳 '상권 장악'
상태바
서울 SSM 10년간 14배 증가 267곳 '상권 장악'
  • 김지훈 기자
  • 승인 2013.02.17 09: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SM시장 포화…대형 유통업체 도매시장 진출 우려"

 최근 10년간 서울 지역 전통시장이 1.1배 증가하는 데 그친 반면 기업형 슈퍼마켓(SSM)은 14배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17일 서울연구원의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에 대한 만족도는?' 자료에 따르면 지난 2011년을 기준으로 서울 지역에 총 267개의 SSM이 영업 중이었다.

특히 지난 2008년까지 97개였던 SSM은 2009년에 183개, 그다음 해인 2010년에는 251개로 급격하게 불어났다.

반면 지난 2001년 204개였던 전통시장은 10년이 지난 2011년까지 21곳 증가하는 데 그쳤다. 결국 2010년을 기점으로 서울 지역에 전통시장(224곳)보다 SSM매장(251곳)이 더 많아졌다.

이러한 현상에 대해 시 관계자는 총면적 3000㎡ 이상을 기준으로 하는 대형마트 시장이 2008년부터 포화상태에 이른 데다 부지 선정 등에 어려움을 겪기 시작한 유통업계가 SSM으로 눈을 돌린 탓이 크다고 설명했다.

실제 2008년까지 매년 4~6씩 증가하던 대형마트는 그해 이후 매년 1~2개씩 증가하는 데 그쳤다. SSM이 급격하게 증가한 시기와 맞물린다.

골목상권을 대상으로 삼은 SSM이 급격하게 증가하기 시작하면서 그로 인한 피해는 고스란히 전통시장으로 돌아갔다.

지난 2010년 참여연대가 작성한 이슈리포트 'SSM 골목상권 침투, 18대 국회는 무엇을 했나'에 따르면 SSM이 들어선 이후 인근 소매 점포 매출액은 평균 48%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 리포트는 대형마트와 SSM이 입점한 이후 인근 소매 점포들의 연간 매출액은 1개 점포당 5000만원 가량 줄어들었으며 점포 규모가 작을수록 매출액 감소비율이 높았다고 분석했다.

전국 단위로 보면 2004년 대비 2008년의 대형마트 매출액은 9조1000억원 증가하 것으로 집계됐다. 반면 같은 기간 전통시장의 매출액은 9조3000억원 감소했다.

대형마트와 SSM이 늘면서 전통시장 등 골목상권을 잠식하기 시작하자 정부는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해 2002년부터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지원사업을 시행한 데 이어 2005년부터는 경영현대화 사업을 시행해오고 있다.

이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낮은 편은 아니지만 투입된 예산에 비해 효과가 미흡하다는 지적도 나온다.

시가 지난해 전통시장 상인과 소비자 등을 대상으로 전통시장 활성화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상인은 74.5%, 소비자는 79.2%가 '긍정적'이라고 답했다.

하지만 전통시장 활성화 사업에 대한 만족도가 높은데 반해 실질적인 효과는 기대에 못 미쳤다.

전통시장 시설현대화 사업 이후 시장 이용빈도의 변화에 대한 질문에는 소비자의 75.2%가 '변화없다'라고 답했다. 더 자주 이용하게 됐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24.5%, 덜 이용하게 됐다고 응답한 소비자는 0.2%였다.

최인숙 중소상인살리기네트워크 사무국장은 "육성보다 보호정책이 더 필요했다. 대형마트와 SSM을 적절하게 규제하면서 전통시장 활성화를 위한 육성정책을 펴야 했으나 그렇게 하지 않는 바람에 효과가 줄어들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 "최근 SSM 시장이 포화상태가 되면서 대형 유통업체들이 도매시장으로 눈을 돌리고 있다"며 "그런데 규제 정책이 이 속도를 따라가지 못해 늘 사후예방에 그친다"고 우려했다.

강희은 서울시 소상공인지원과장은 "대형마트의 영업제한 시간을 자정부터 오전 10시까지 제한하는 내용 등을 담은 유통산업발전법 개정안에 맞춰 조례 개정작업을 진행하게 될 것"이라며 "골목상권을 살리기 위해 다양한 정책을 마련해 시행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한편 시는 지난 7일 서초구 양재동 양곡도매시장에 매장면적 300㎡ 이하의 일반 슈퍼마켓과 골목가게, 전통시장 점포주 등을 위한 중소유통물류센터를 개장했다. 이곳을 이용하는 중소상인들은 평균 10% 정도 저렴한 가격에 상품을 살 수 있다고 시는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