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간접흡연 피해를 줄이기 위해 서울시가 도입한 '금연아파트'가 매년 늘어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 한 해 동안 74개 단지가 금연아파트로 신규 인증되는 등 시민의 참여도 꾸준하게 이어지고 있다.
서울시는 지난해 말까지 서울 시내 429개 아파트 단지가 금연아파트로 인증돼 운영 중이라고 6일 밝혔다.
금연아파트 인증 제도는 금연문화가 자율적으로 정착되도록 유도하기 위해 2007년 도입, 7년째 시행되고 있다.
시행 첫해는 인증받은 단지가 18곳에 그쳤으나 2008년 38개 단지, 2009년 80개 단지가 새롭게 인증되는 등 매년 늘어났다.
특히 2010년에는 한 해 동안 129개 단지가 금연아파트 인증을 받았다. 이후에도 70여 곳의 신규 단지가 금연아파트 인증을 받았다.
금연아파트 인증을 받으려면 단지 주민 절반 이상의 동의가 있어야 한다. 자율추진단도 구성돼야 한다. 아파트가 사유공간인 만큼 법적인 금연구역으로 지정할 수는 없다고 설명했다.
시는 금연아파트로 지정된 단지의 입구에 '금연아파트' 표지판을 설치하고 인증서를 내준다. 또 스티커 등 금연 홍보물도 무상으로 제공한다.
다만 법적인 강제성이 없어서 금연아파트 내에서 흡연하더라도 과태료는 부과되지는 않는다.
이런 가운데 신규 인증을 받은 해로부터 2년 뒤에 시행하는 재심사를 통과하는 비율도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2010년까지 재심사를 받은 266개 단지 중 재인증을 받는 데 실패한 곳은 23개 단지에 불과했다.
시 관계자는 "재심사를 진행할 때 놀이터 등에서 담배꽁초가 발견되면 재인증을 받을 수 없다"며 "금연아파트 사업에 대한 시민의 호응이 좋고 운영도 잘 이뤄지고 있는 만큼 더욱 확산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