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승국 서울시 행정2부시장은 최근 개포동 주공2·4, 시영아파트 재건축안이 전부 보류된 것과 관련 "재건축·재개발 속도 조절은 없다"고 말했다.
문 부시장은 24일 오전 서울시청 서소문별관 브리핑실에서 기자설명회를 열고 "시장 자체적으로 속도조절을 해주고 있어 정책으로 강요할 상황이 아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들 단지의 재건축안이 보류되자 부동산 시장을 중심으로 재건축·재개발에 부정적인 박원순 시장이 취임하면서 서울시가 재건축·재개발 속도를 조절하고 있다는 관측이 제기됐다.
문 부시장은 다만 "임대주택 도입 비율이나 녹지, 아파트 배치 문제 등에 대해 공공성을 높이는 방향으로 유도하겠다"고 말했다.
문 부시장은 재건축 보류 사유로 ▲소셜 믹스(Social Mix) 구현과 다양한 디자인 및 조망권 확보를 위한 동배치 검토 ▲리모델링이 용이한 구조계획에 따른 용적률 및 높이완화 타당성 검토 ▲학교 수요 및 시설 증축에 대해 교육청과 협의 필요 ▲광역적 교통계획 검토 등을 들었다.
그는 "이번 심의결과는 개포지구내 다른 29개 단지에 대한 바로미터가 될 수 있어 최소한의 방향성을 세워 둬야 한다는 생각에서 지적된 논의사항을 포함해 재상정해달라고 요구한 상황"이라고 부연했다.
서울시 도시계획위원회는 16일 개포동 주공2단지, 주공4단지, 시영 아파트 재건축안 심의를 보류했다.
이들 아파트가 포함된 이른바 개포지구는 강남구 개포동, 도곡동, 일원동 일대 393만7263㎡ 32개 단지 2만8407세대를 일컬는다. 1981년부터 1991년사이 준공돼 재개발이 임박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