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13 16:44 (일)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중단하라"
상태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중단하라"
  • 임태순 기자
  • 승인 2015.09.09 14: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역사연구자 불복종 선언 1167명 서명

역사학계 교육 연구자들이 "정부는 헌법에 명시된 교육의 자주성 전문성·정치적 중립성을 훼손하는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 시도를 즉각 중단하라"고 9일 선언했다.

한국근현대사학회와 한국사학사학회 등 연구학계 교육 연구자들은 이날 오전 서울 종로구 흥사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국정 교과서는 정권이 원하면 얼마든 역사를 왜곡할 수 있고 정권에 따라서 교과서의 서술이 뒤바뀔 수 있는 위험한 제도"라며 "정부는 역사학계 역사교육계의 비판을 수용해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를 중단하라"고 밝혔다.

이들은 지난 8일까지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에 반대하는 역사연구자 선언'에 동참하는 서명운동을 진행해 역사학계 총 1167명의 서명을 받았다.

이들은 이날 선언문을 통해 "한국사 교과서 국정화는 자율성과 다양성, 그리고 창의성을 존중하는 민주주의 교육 이념을 부정하는 것"이라며 "교과서 국정제가 처음 도입된 것은 유신체제 하에서였다. 당시 발행된 국정 교과서는 국민을 국가권력의 지시와 명령에 순응하는 신민으로 전락시키는 이념 교육의 도구가 됐다"고 설명했다.

이어 "역사교육 연구자들이 국정제 도입 당초부터 그 부당성을 지적하며 꾸준히 반대운동을 벌여온 것도 이러한 폐해를 인식했기 때문"이라며 "국정제로의 회귀는 지난 40여년에 걸친 민주화운동의 성과와 대한민국이 이룩한 사회문화적 성취를 부정하는 처사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국정제를 채택한 나라는 한 곳도 없다"고 말했다.

또 "헌법재판소는 교과서가 국정화되면 학생들의 사고력이 획일화·정형화될 수 있고 국가가 필요 이상의 강력한 통제권과 감독권을 가지고 있어 국가의 입장이 강하게 반영될 수 있다고 지적했다"며 "이에 헌법재판소는 지난 1992년 국정제보다 검·인정제를, 검·인정제보다는 자유발행제를 채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한 바 있다"고 전했다.

한국역사연구회 정용욱 회장은 이날 "국정화 반대 선언을 위해 역사학계 각 학회 대표자가 한 자리에 모였다"며 "각 대학 교수, 강사, 대학원생, 은퇴한 원로 교수들, 진보적 학자부터 보수적 학자까지 모두 함께한 것은 대한민국의 역사 교육이 전례없는 위기에 처했다는 상황 인식을 공유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