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낙마 없길 희망…대통령실, 같은 생각일 것”

이재명 정부 1기 내각 구성을 위한 인사청문회가 이번주 본격 진행된다. 말 그대로 ‘청문회 슈퍼위크’다.
야당인 국민의힘은 ‘갑질’ 의혹에 휩싸인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와 논문표절 의혹이 제기된 이진숙 사회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 등 문제가 있는 후보자들이 임명돼서는 안 된다고 주장하며 송곳 검증을 벼르고 있다.
반면 여당인 더불어민주당은 청문회에서 의혹이 모두 해소될 것이라고 기대하면서 “낙마는 없다”는 입장이어서 양측 간 힘겨루기가 팽팽하게 진행될 전망이다.
13일 정치권에 따르면 14일부터 18일까지 닷새간 총 17건의 인사청문회가 열린다.
14일에는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 배경훈 과학기술정보통신부 장관 후보자, 전재수 해양수산부 장관 후보자, 정동영 통일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진행된다.
15일에는 권오을 국가보훈부 장관 후보자, 김성환 환경부 장관 후보자, 한성숙 중소벤처기업부 장관 후보자, 안규백 국방부 장관 후보자, 임광현 국세청장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열린다.
16일에는 정성호 법무부 장관 후보자, 김영훈 고용노동부 장관 후보자,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열리며 17일에는 조현 외교부 장관 후보자,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후보자, 구윤철 기획재정부 장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가 예정돼 있다.
18일에는 윤호중 행정안전부 장관 후보자와 정은경 보건복지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인사청문회가 진행된다.
현재 야당이 낙마 공세를 집중시키고 있는 대상은 강선우 여가부 장관 후보자와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다. 강선우 후보자는 보좌진 갑질 논란이 터지면서 여론의 뭇매를 맞고 있다. 국민의힘은 강선우 후보자가 갑질 의혹에다 거짓 해명까지 했다고 주장하면서 자진 사퇴를 촉구하고 있다.
국회 여가위 국민의힘 간사인 조은희 의원은 지난 11일 원내대책회의에서 “보좌진을 집사처럼 부린 갑질(의혹에), ‘가사도우미가 있어서 그런 일 없다’고 거짓해명을 했다”며 “거짓말이 들통났는데 사과는커녕 청문회 뒤로 숨었다”고 지적했다. 이어 “여가부는 약자를 보호하는 자리”라면서 “갑질의 여왕이 된 강 후보자는 즉각 사퇴하라”고 밝혔다.
국민의힘은 논문 표절 의혹이 제기된 이진숙 후보자에 대해 “논문 표절 교수가 교육부 장관이 되면 대학 총장들, 대학 교수들을 만나 무슨 권위 세울 수 있겠나”라고 지적하면서 부적격 후보자로 보고 있다.
또 윤호중 행안부 장관 후보자에 대해서는 음주운전 전과 등을 문제삼고 있다.
국민의힘은 이들 후보자 외에도 모든 후보자들을 철저하게 검증하겠다고 벼르고 있다. 이를 위해 지난 14일부터 ‘이재명 정부 공직후보자 국민검증센터’를 가동하고 있다.
국민의힘은 ▲세금탈루 의혹 ▲부동산 투기 이력 ▲병역기피 및 편법면탈 ▲특혜·갑질 전력 ▲입시·취업 비리 연루 ▲논문 표절 등 학문적 부정행위 ▲전관예우 및 이해충돌 가능성 등 집중적으로 검증할 방침이다.
민주당은 ‘낙마는 없다’는 방침 하에 청문회를 지켜보고 판단하겠다는 입장이다. 강선우 후보자와 이진숙 후보자들도 의혹을 돌파하거나 청문회에서 소명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더욱이 장관 후보자들의 경우 청문보고서가 채택되지 않더라도 대통령이 임명을 강행할 수 있어 실제 낙마 사례가 나올 가능성은 미지수다.
문진석 민주당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지난 11일 국회에서 기자들을 만나 이진숙 후보자의 논문 표절 논란과 관련 “전혀 문제가 없는 것 같다”고 밝혔다.
그는 “이 후보자가 2007년부터 2019년까지 대학총장 출마로 인해 후보 검증위원회를 거쳤는데 (검증위에서) 논문 검증을 철저히 했다. 거기에서도 문제 없다고 결론이 났기 때문에 크게 문제되지는 않을 듯하다”고 말했다.
강선우 후보자의 이른바 ‘갑질’ 논란에 대해선 “여러 의혹이 터져 나왔지만 본인 얘기는 들어보지 않았다”며 “(청문회를 통해) 들여다 볼 필요가 있다”고 했다.
문 원내운영수석부대표는 ‘한 명의 후보자도 낙마는 없다는 입장인가’라는 질문에 “우리의 희망은 그렇다. 당의 희망은 그렇다”며 “대통령실도 같은 생각일 것”이라고 답했다.
이런 가운데 허영 민주당 원내정책수석부대표는 인사청문회를 ‘공직윤리청문회’와 ‘공직역량청문회’로 나눠 진행하는 것을 골자로 한 인사청문회법 개정안을 발의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