찬 공기 남하와 열대 수증기 북상…13~14일 많은 비

13일과 14일 한반도 남쪽과 동쪽에 비가 쏟아지는 등 다음 주에도 비 소식이 이어지겠다. 찬 공기 유입으로 폭염은 잠시 수그러들다가 수요일부터 다시 기온이 올라갈 것으로 관측된다.
공상민 기상청 예보분석관은 13일 수시 브리핑을 통해 "북쪽 찬 공기 내려오고 남쪽 수증기 북상하며 비가 올 것으로 예상된다"며 "제11호 열대저압부는 13일 저녁 전후로 상층 찬 공기와 만나면서 온대 저기압으로 성질 바뀔 걸로 예상된다"고 설명했다.
기상청은 13일 현재 제주 남서쪽에 있는 수증기를 머금은 열대저압부가 저녁께 북쪽의 찬 공기를 만나 온대 저기압으로 변화될 것으로 봤다.
이에 따라 13일 저녁까지 제주도, 남해안, 전라권을 중심으로 강하고 많은 비가 내릴 전망이다. 시간당 최대 강수량은 30㎜ 이상이다.
이후 14일 아침까지 온대 저기압이 북동쪽으로 진출함에 따라 경상권에 많은 비가 오겠다. 예상 강수량은 시간당 최대 30~50㎜나 곳에 따라 50㎜ 이상도 있겠다. 최대 누적 강수량은 150㎜ 이상이다.
이르면 14일 오전부터 저기압은 상층 기압골에 포획될 것으로 관측된다. 동해안을 중심으로 강한 강수가 유발될 예정이다.
15일에는 남아있는 찬 공기와 수증기에 동풍이 더해지고 낮 동안 기온이 오르며 강수로 이어질 가능성이 있다.
16일에는 다시 기압골이 내려오고 고기압 가장자리를 따라 수증기가 북상함에 따라 강수가 예상된다.
공 예보분석관은 "최근에 비가 거의 없었던 남부지방에 많은 비가 내릴 예정"이라며 "하천물이 불어나거나 농경지, 농수로 범람과 산사태 등을 주의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또한 저기압이 지나가는 경로에는 강한 바람이 불 것으로 전망된다. 현재 제주도 남쪽에 풍랑특보가 예보되어 있지만 점차 남해와 동해에 풍랑주의보가 나갈 것으로 보인다. 특히 동해안 지역은 강풍특보까지 예상된다.
다만 열대 저압부가 온대 저기압으로 바뀌는 시점과 위치에 따라 강수 지역과 양에 변동성이 큰 상황이다.
18일 이후 북태평양 고기압이 재확장함에 따라 한반도 남측 열대 요란 발생 가능성도 관측에 불확실성을 더하는 요소다.
공 예보분석관은 "13일과 15일에 북측 찬 공기가 내려와 기온이 급강하한다"며 "16일 이후 다시 남서풍이 유입돼 점진적으로 기온이 상승하고 수증기도 유입돼 체감온도는 더 상승할 전망"이라 말했다.
한편 공식적으로 장마가 종료된 남부지방, 제주와 달리 중부지방의 경우 장마가 계속 이어지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