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경실련)은 지난달 서울 시내에서 발생한 대형 땅 꺼짐(싱크홀)과 관련해 사고 조사위원회가 늦게 꾸려진 이유를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경실련은 1일 성명을 통해 "국토교통부는 명일동 지반침하 사고에 있어서 왜 일주일이나 지난 시점부터 사고 조사에 착수토록 했는지를 밝혀야 한다. 만약 서울시에 사고 조사를 떠넘기려고 했다면 존재할 이유가 없다"고 강조했다.
이어 "지난달 24일 서울 강동구 명일동 도로에서 대형 싱크홀이 발생했다. 국토부는 사고 발생 4일이 지난달 28일 중앙지하사고 조사위원회(사조위)를 31일부터 운영한다고 밝혔다"면서 "문제는 국토부의 사조위 구성·운영 발표가 사고 발생 4일이 지난 뒤에, 사고 조사는 사고 발생 7일이나 지난 시점에 늦장 착수했다는 것"이라고 질타했다.
그러면서 "지반침하·건설사고와 관련한 사조위가 사고 발생 뒤 1∼3일 안에 사고 조사에 착수한 경우와 대조적"이라고 덧붙였다.
이와 관련해서는 ▲2020년 8월 경기 구리시 땅 꺼짐 사고 ▲2017년 8월 발생한 경기 평택호 횡단 교량 교각 붕괴 사고 ▲2025년 2월 세종-안성 고속도로 붕괴 사고 등에서 사흘 안에 모두 사조위가 구성·운영됐다는 점을 근거로 들었다.
또 2020년 3월 부전~마산 민자철도 현장에서 터널 붕괴로 인한 땅 꺼짐 사고와 관련해 건설사고 조사위를 구성해야 한다고 밝혔다.
전날 경찰은 강동구 땅 꺼짐 사고와 관련해 국토부 산하 국토안전관리원 사조위와 함께 내사에 착수했다고 전했다.
지난달 24일 오후 6시29분께 서울 강동구 명일동 대명초교 사거리에서 발생한 땅 꺼짐은 가로 18m, 세로 20m 깊이 30m가량으로 파악됐다. 땅 꺼짐으로 인해 왕복 6차선 가운데 5차선이 함몰됐다. 사고로 매몰된 오토바이 운전자 1명은 17시간 만에 숨진 채 발견됐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