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8 16:37 (화)
SKY 출신 전체 45% 차지…모교출신 절반이상 선발
상태바
SKY 출신 전체 45% 차지…모교출신 절반이상 선발
  • 강지혜 기자
  • 승인 2014.01.15 09:5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울대, 지방대 출신 1명도 입학 못해

'SKY' 출신이 지난해 전국 법학전문대학원(로스쿨) 최종 합격자의 절반에 가까운 비중을 차지하는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학교의 자대생(같은 학교 학부를 졸업한 학생) 선발 비율도 50~66%로 타대학에 비해 평균 40%포인트 이상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15일 국회 교육문화체육관광위원회 새누리당 박창식 의원실이 조사한 '2013학년도 법학전문대학원 최종합격자 현황'에 따르면 지난해 전국 로스쿨 전체 합격자 2099명 가운데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등 이른바 'SKY 출신'이 모두 948명(45.1%)으로 절반에 가까운 숫자를 보였다.

학교별 최종 합격자 인원 분포는 서울대 328명(15.6%), 고려대 333명(15.9%), 연세대 287명(13.7%)이다.

통계에 따르면 특히 SKY 출신이 SKY 대학 로스쿨에 입학하는 비율이 높았다. 우선 이들 학교의 자대생 선발 비율은 50~66%로 다른 대학에 비해 평균 43.8%포인트 높은 것으로 조사됐다.

서울대 로스쿨의 경우 자대 출신 102명(66.2%), 고려대 출신 27명(17.5%), 연세대 출신 10명(6.49%) 등 SKY 출신이 전체 인원의 90.3%를 차지했다. 고려대 최종 합격자도 자대 출신 82명(65.6%), 서울대 출신 24명(19.2%), 연세대 출신 7명(5.6%)으로 SKY 졸업생이 90.4% 비율을 보였다. 연세대 로스쿨도 자대 출신 63명(50.4%), 서울대 출신 31명(24.8%), 고려대 출신 4명(3.2%)의 분포를 보였다.

반면 비수도권 대학 출신이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 로스쿨에 입학한 비율은 극히 적었다. 서울대 로스쿨의 경우 SKY 출신이 전체 인원의 90% 이상을 차지한 것에 반해 비수도권 출신 학생은 2명(1.29%)에 그쳤다. 이 비수도권 대학이 특수목적대학인 포항공대임을 고려한다면, 실질적으로 지방대 학생은 단 한 명도 서울대 로스쿨에 입학하지 못한 셈이다.

고려대와 연세대도 상황은 비슷하다. 지난해 고려대 로스쿨 최종 합격자 중 카이스트와 포항공대 등 특목대를 제외한 비수도권 대학 합격자는 경북대 1명뿐이었다. 연세대 로스쿨의 경우도 특목대를 제외한 비수도권 대학 출신 합격자는 한동대 2명뿐이었다.

자대생을 뽑은 비율이 가장 낮은 대학은 충북대 3.89%(77명 중 3명), 영남대 5.47%(73명 중 4명), 아주대 5.66%(53명 중 3명) 등으로 조사됐다.

정상조 서울대 로스쿨 학장은 "서울대와 고려대, 연세대를 졸업한 학생들이 로스쿨에 지원하는 숫자 자체가 많아 다수 뽑히는 것이라고 짐작한다"며 "학교 입장에서도 편견 없이 우수한 학생을 뽑자는 게 최우선 목표이기 때문에 이런 결과가 나왔다고 생각한다"고 설명했다.

정 학장은 "로스쿨에서 공부하면 인권, 통상, 산업 역군 등으로 성장할 수 있다"며 "앞으로 여러 연령층과 출신 지역 등 더 다양한 배경을 지닌 사람들이 로스쿨에 지원해주기를 바란다"고 덧붙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