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서울시는 내년부터 중소기업 재택근무 인프라 구축 시범사업 시작한다고 14일 밝혔다.
시는 중소기업중앙회와 협력해 재택근무를 활성화하기 위한 다양한 정부지원정책, 근무매뉴얼 등의 정보 제공을 강화한다.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중대본)의 사회적 거리두기 2.5단계 격상 조치에 따라 서울시는 ‘천만시민 긴급 멈춤기간’을 선포하고 강화된 방역기준에 맞춘 사회적 거리두기를 시행 중이다.
서울에 사업장을 보유한 대기업 대부분은 방역지침에 따라 사무실 내 근무인원을 30~50% 비율로 유지하는 등 재택근무를 적극적으로 시행하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방지를 위해 유연근무제 확대, 근로시간 단축 등 가능한 방안을 찾아서 동참하는 중소기업이 늘어나고 있다. 하지만 여전히 스마트워크 시스템 등 재택근무 시행을 위한 업무환경 미비, 회사 경영 사정, 소규모 인력 운영에 따른 업무효율 저하 우려 등으로 재택근무 시행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실제로 중소기업중앙회가 6월 발표한 중소기업 스마트워크 구축현황 조사 결과에 따르면 응답기업(301개사)의 68.1%가 ‘스마트워크 활용 경험이 없다’고 했다.
활용하지 못하는 주된 이유로는 ‘업무특성상 활용 불가’(30.6%)와 ‘자금부담’(28.9%)인 것으로 나타났다.시는 코로나19 상황 장기화에 대비하고 재택근무 시스템의 안정적인 구축을 위해 중소기업중앙회와 협력해 재택근무 활성화를 위해 정보제공, 재정지원 등을 강화한다.
시 소프트웨어(SW)·온라인 서비스 등 재택근무 시행이 용이한 업종을 대상으로 재택근무제도 도입을 위한 종합매뉴얼을 온라인으로 배포하는 등 제도 관련 정보를 제공한다. 또 중소기업중앙회와 함께 중소기업의 재택근무 우수사례와 제도 시행에 따른 업무성과를 적극적으로 발굴·확산해 중소기업이 자발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유도한다.
시는 내년부터 주요 경제단체와 협력, 중소기업 재택근무 인프라 구축사업을 시범운영해 재택근무 정착을 위한 설비와 시스템 도입을 적극 지원할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