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용산구 용문전통시장이 중소벤처기업부 ‘2021년 전통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 지원사업’ 공모에서 특성화시장(문화관광형) 육성 대상으로 선정됐다.
전통시장 및 상점가 활성화 지원사업은 전통시장 및 상점가, 상권활성화구역 상인 및 상인회, 지방자치단체 등을 대상으로 지역상품 전시회, 특성화 시장 육성, 노후시설 개선 등을 지원하는 사업이다. 구는 해당 공모에 ▲용문시장 특성화시장 육성 ▲용문시장 경영 바우처 지원 ▲용문시장 주차환경 개선 ▲신흥시장 경영 바우처 지원 등 4개 사업을 응모, 모두 선정되는 쾌거를 거뒀다. 확보한 국시비 예산은 약 9억원에 달한다.
특히 구는 용문시장을 ‘문화관광형’ 특성화시장으로 육성·개발한단 방침이다.
사업 테마는 “젊음과 함께, 생활을 담은, 용산의 미래시장”이다. 이를 위해 구는 2021~2022년 2년에 걸쳐 특성화시장 인프라 조성 및 지속가능한 조직 시스템 구축에 매진한다.
주요 사업으로는 ▲국제시장 만들기(시장마당 플랫폼 조성, 시장 내 근대건축물 입면 정비 및 공공디자인, 청년상인 문화기획단 조직) ▲생활시장 만들기(점포별 상품·환경 컨설팅, 지역 커뮤니티 지원) ▲미래시장 만들기(스마트 공유센터 설치, 유동인구 확인 CCTV설치, 점포별 스마트 컨설팅) 등이 있다. 구는 우선 시장 내 공유공간을 확보, 청년층과 지역민, 외국인 관광객이 모일 수 있는 ‘시장마당 플랫폼’를 꾸민다.
플랫폼 위치는 원효로3가 1-1번지 일대로 면적은 약 1350m²다. 상인회와 청년상인 문화기획단이 여기서 벼룩시장 등 문화행사를 주기적으로 개최할 예정이다.
점포별 상품·환경 컨설팅도 진행한다. 상품 포장을 새롭게 하거나 가게 외관 또는 매대를 깔끔하게 정비하는 방식이다.
고객안전선도 만든다. 점포 위생 상태를 개선, 감염병 예방에도 효과를 낼 수 있다. 용문시장 중앙광장에는 ‘스마트 공유센터’를 설치한다.
시장·점포 홍보를 위한 무인 종합정보안내시스템(키오스크)과 쉼터, 유동인구 확인용 폐쇄회로(CC)TV 등을 설치, 미래지향적인 이미지를 구축한다.
유동인구 빅데이터는 시장 마케팅 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 외도 구는 용문시장 관광투어 상품과 특산품 판매플랫폼 구축, 온라인 마켓·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홍보단 운영, 상인전문가 양성 등을 통해 시장 방문자를 확충해 나간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