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산업통상자원부는 디지털 혁신을 통해 세계 4대 산업강국으로 도약하겠다는 계획을 20일 발표했다.
전기차, 소재 등 주력 산업 분야에서 데이터 플랫폼을 구축해 성공사례를 만들어내고, 이를 산업 전반에 확산 적용하겠다는 게 골자다.
이와 함께 데이터‧인공지능(AI)을 활용한 산업공급망 고도화와 관련 법령‧제도 정비 등 산업 디지털 혁신 인프라 구축도 함께 추진된다.
산업부는 이날 정부서울청사에서 열린 ‘제2차 한국판 뉴딜 관계장관회의 겸 제14차 비상경제 중앙대책본부 회의’에서 이런 내용을 담은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전략’을 발표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 이후 산업 전반에 디지털 전환이 급격히 진행되는 추세다. 이 흐름에 올라타지 못하면 글로벌 기업과의 경쟁에서 뒤처질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이에 산업부는 산업 데이터와 디지털 기술을 접목해 산업 경쟁력을 끌어올리겠다는 취지에서 이번 전략을 만들었다.
산업 데이터란 개발‧생산‧유통‧소비 등 산업 전 과정에서 생성되는 데이터를 뜻한다. 구조화되지 않은 비정형의 이미지‧수치‧텍스트‧소리 등 다양한 형태를 포함한다.
주요 내용을 보면 산업부는 업종별 데이터 특성과 협업 유형을 고려한 문제해결형 ‘산업 데이터 플랫폼’ 구축에 나선다.
전기차, 소재 등 10대 주력 산업 분야에서 30개의 플랫폼을 만들고‚ 이를 중심으로 성공사례를 조기 창출해 다른 분야로 확산한다는 방침이다.
표준‧특허 등 공공 산업 데이터 개방도 확대된다.
AI 기반 지능형 서비스를 제공해 신제품‧서비스의 시험‧인증‧지식재산권 확보를 지원하는 식이다.
데이터‧AI를 활용한 지능형 디자인‧설계 고도화 플랫폼도 구축된다.
이를 통해 새로운 서비스 창출이 예상되는 제조업 분야를 전략적으로 지원할 계획이다.
해당 산업은 자율주행차(자율주행 서비스 실증), 로봇(로봇 배달 서비스), 스마트전자(스마트홈), 조선해양(자율형 선박), 에너지 효율(원격 수요 관리) 등이다.
이와 관련해 산업부는 신규 R&D(연구개발) 과제의 20% 이상을 대규모 통합형 R&D로 추진하기로 했다.
산업 R&D 전 단계에는 지능화 방법론이 적용된다. 이는 데이터‧AI를 기반으로 과제를 기획하고 수행과정에서 데이터를 축적해 결과물을 뽑아내는 방식이다.
또한 금속‧화학‧세라믹‧섬유 등 4대 소재‧부품 산업에는 빅데이터를 활용해 개발환경을 개선하고, 파급효과가 큰 조선‧철강 등 장치 산업과 에너지 산업의 생산‧발전 전 공정에는 디지털 기술을 접목할 계획이다.
디지털 기반 사업화 지원체계도 갖춰진다.
먼저 규제 샌드박스 규제혁파 로드맵 등을 통해 데이터 수집‧활용 관련 규제를 발굴하고 이를 빠른 시일 내에 개선하기로 했다.
‘산업 지능화 펀드’도 4000억원 규모로 조성된다.
선도 기업에 60% 이상을 집중 투자하고 유망 프로젝트에 대한 사업화 패키지도 지원하게 된다.
아울러 국가기술은행(NTB) 등 기존 기술거래‧평가 시스템을 데이터‧AI 기반 지능형 플랫폼으로 업그레이드할 예정이다.
산업부는 산업 디지털 혁신 인프라 구축을 위해 법령‧제도 정비에도 나선다.
현재 디지털 기반 산업 혁신성장 촉진법 제정과 산업융합 촉진법 개정 등을 검토하는 중이다.
여기에는 산업 데이터 활용‧보호 원칙, 민간 산업 지능화 사업 패키지 지원, 실태 조사 등이 반영될 것으로 예상된다.
산업 유형별 데이터 포맷 표준화, 상호운용성 인증을 추진하고 산업 전반의 데이터 거래 가이드라인도 정립된다.
산업 디지털 융합 인재 양성을 위해 업종 전문성을 보유한 재직자 중심으로 현장 디지털 전문인력 교육도 강화된다.
산업부는 ‘AI 융합형 산업현장 기술인력 양성’, ‘디지털 전환 촉진 변화인재 양성’ 사업 등을 통해 디지털 경영 전략을 선도화 인재를 확보할 계획이다.
또한 석‧박사급 산업 AI 전문인력 양성을 확대하고 빅데이터 전문인력 양성 프로그램도 신설된다.
해외 데이터 수집‧활용과 데이터 기반 신산업의 해외 진출을 촉진하기 위한 디지털 통상협정(DPA)도 본격화된다.
아세안 시장 진출의 교두보인 싱가포르와 먼저 추진하고 이후 중견국 위주로 디지털 블록을 형성할 예정이다.
산업부 관계자는 “이번 전략은 산업 전반에 걸쳐 디지털 전환을 촉진시키기 위해 활용, 대상, 범위, 주체 등에서 그간 대책들과 차별성을 가진다”고 강조했다.
이어 “산업 데이터 공급과 병행해 산업 현장에 활용하는 데 방점을 두고 성공사례를 조속히 창출하겠다”며 “민간 중심의 추진체계를 구축하고 정부는 협업 촉진과 제도를 정비해 불확실성을 제거하겠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