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30대 직장인 박모씨는 계속되는 물리치료와 한방치료에도 나아지지 않는 어깨 통증 때문에 고민하다 찾은 병원에서 뜻밖에도 목 디스크라는 진단을 받았다. 어깨의 문제라고 생각해 목 디스크 치료를 받지 않았던 박씨 상태는 이미 심각해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상황이었다.
최근에는 의료기술의 발달로 목 디스크도 비수술적인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해졌지만, 박씨는 이미 그 시기를 놓친 상태였다.
박씨처럼 목 디스크의 경우 그 증상이 다른 질환과 혼동돼 치료시기를 놓쳐 병원에 내원하는 경우가 많다. 목 디스크 증상 중 가장 큰 것이 어깨통증과 뒷목의 뻐근함, 두통 등으로, 단순한 근육통이나 스트레스로 인한 증상이라고 오인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그런 이유로 간단한 약물과 물리치료로 치료하거나 비수술적 방법으로 치료가 가능한 시기를 놓친 후에야 목 디스크를 앓고 있다는 사실을 아는 경우가 빈번하다.
목 디스크는 흔히 알고 있는 허리디스크와 같은 질환으로, 정확한 의학적 병명은 추간판 탈출증이다.
목과 허리와 같은 척추뼈와 척추뼈 사이에는 추간판이라고 하는 디스크가 자리하고 있다. 이 디스크는 매우 탄력적이고 유연한 겉 표면을 가지고 있고, 안에는 수분을 품고 있어 체중의 부하나 충격을 흡수해 주는 역할을 한다.
하지만 노화나 무리한 사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디스크에 균열이 가고 안에 있는 수핵이 튀어나와 신경을 눌러 통증을 발생시킨다.
대표적인 증상으로는 앞서 말한 바와 같이 어깨통증, 뒷목의 뻐근함, 두통 등이다. 통증이 단순한 근육통이나 두통과 같이 일시적이지 않고 계속해서 지속되거나 어깨에서 등까지 결리고 팔과 손이 저릿한 느낌이 들면 목 디스크를 의심해 보는 것이 좋다.
최근에는 비수술적 방법으로 간단하게 목 디스크를 치료하고 있지만 박씨와 같이 탈출된 디스크의 양이 많아 신경의 눌림이 크거나 디스크의 수분 상실로 수축이 심해 그 기능을 상실했을 경우 인공디스크치환술이라는 수술치료를 받게된다.
인공디스크치환술은 손상된 디스크를 제거해 인공디스크를 삽입, 정상적인 디스크의 기능을 되살리는 치료방법으로, 일반적으로 갖고 있는 목 디스크 수술에 대한 생각과 달리 4~5㎝ 정도의 최소절개 방법으로 진행된다.
신경손상 위험이 매우 낮고, 수술한 다음날 바로 걸어다니는 등 가벼운 일상생활이 가능하고 통증이 적어 보편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수술방법이다. 또 재수술의 확률이 낮고, 입원기간이 짧고 비용이 적은 장점이 있다.
한 가지 주의할 점은 목 디스크 수술의 경우 고도의 기술과 전문지식을 요하는 수술치료이기 때문에 전문지식과 많은 경험이 있는 전문의에게 충분한 상담 후 치료를 받는 것이 중요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