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의정부경전철이 더 편리하기 위해서는 첫째 요금이 환승할인돼야 되겠다. 또 적자가 날 때 국가와 도가 얼마나 의정부시를 지원하느냐 이런 문제가 남아 있습니다…경기도에서 적극 지원할 것을 약속드립니다.”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새누리당 대선후보 경선에 나서기 직전인 지난달 29일 의정부경전철 개통식에서 시민과 관계자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환영사를 통해 환승할인 등 경기도 차원의 지원을 약속했다.
그러나 경기도 관련 부서에서는 최근 재원부족으로 경전철에 대한 환승활인은 어려우니 의정부시가 자구책을 마련하라는 공문을 시달하는 등 예산부족을 이유로 딴전을 피우고 있다.
16일 의정부시와 의정부경전철(주)에 따르면 의정부경전철은 지난 1일 개통 이후 하루 승객 1만5000명 미만으로 예상수요 7만9000명의 19% 수준에 머물고 있다.
그 이유는 비싼요금 때문인데 시민들이 집 앞에서 마을버스를 타고 회룡역 등에서 전철1호선을 갈아타고 출근하거나 반대로 전철을 타고와서 마을버스로 퇴근할 경우 환승할인으로 추가요금 100원을 더 내면되지만 경전철을 타면 요금 1300원을 내야하기 때문이다.
시민들은 "경전철을 이용하면 시내 어디서든 20분 내에 전철1호선을 갈아타고 서울 등지로 출근할 수 있는 편리한 것은 분명하지만 하루에 2400원, 한 달에 5만~6만원의 교통비를 추가로 부담하기 어렵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도지사가 의정부 시민들에게 환승할인을 지원하기로 약속했는데도 실무자들은 예산을 확보하기 어렵다는 이유로 경전철을 환승할인 보전 대상에서 제외시키려던 종전의 방침을 바꾸지 않고 있다.
경기도는 대중교통 환승 손실금으로 버스 1260억원, 지하철 600억원 등 연간 1860억원을 지원하고 있는데 추가 재원을 마련하기 어려워 의정부와 용인의 경전철은 환승할인 대상에 포함시키기 어렵다고 주장하고 있다.
경전철 환승할인제를 시급히 도입해야 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의정부시가 경기개발연구원에 용역을 맡겨 새로 조사한 결과 환승할인이 안될 경우 경전철 이용객은 올해 5만7154명(협약수요의 72%), 2016년 7만2205명(61%), 2021년 7만2857명(58%)으로 예상됐다.
또 이 조사에서 환승할인을 도입하면 하루 이용객이 6만5713명(83.1%)으로 늘어날 것으로 분석됐다. 이 경우 예상수요의 80%를 넘기 때문에 적자보전을 하지 않아도 된다.
시 관계자는 "경전철 최소운임보장협약에 따라 올해 6개월간 14억원, 내년에 53억원을 보전해줘야 하는 등 10년동안 모두 923억원을 민자사업자에게 보전해줄 수밖에 없다"면서 "김문수 지사의 약속대로 경기도가 경전철 환승할인을 도입하면 승객이 늘어나는 등 모든 문제가 해결된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