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7-06 16:56 (일)
도내 '1·2인 가구' 절반 육박…주택정책 변화 필요
상태바
도내 '1·2인 가구' 절반 육박…주택정책 변화 필요
  • 이정하 기자
  • 승인 2012.05.02 15:38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기도내 1·2인 가구 비율이 50%에 육박하는 것으로 나타나 주택정책의 변화가 필요하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경기개발연구원 이외희 선임연구위원은 2일 '1·2인 가구의 급증, 주택정책의 진단과 대응'이라는 제목의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2010년 기준 전국 가구원수별 1·2가구는 전체 1733만9422가구 중 48.2%에 달했다. 10년전 22.8%보다 2배 이상 늘어난 수치다.

반면 5인 이상 가구 비율은 10년전 28.7%에서 8.1%로 줄었다. 경기도의 경우 1·2인 가구 비율이 21.5%에서 41.9%로 늘었다.

가구 구성비로 보면 2010년 기준 전국은 2인(24.3%), 1인(23.9%), 4인(22.5%), 3인(21.3%), 5인 이상(8.1%) 였으나 경기도는 4인(26.3%), 3인(22.7%), 2인(21.6%), 1인(20.3%), 5인 이상(9.1%) 순이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도의 경우 택지개발사업으로 인해 서울 등에서 중장년층 유입이 많아 4인, 3인 가구 비중이 상대적으로 높았다고 분석했다.

특히 도내 1·2인 가구는 전체 저소득층 가구의 71.3%를 차지했고, 인구밀집지역인 도심과 20~30대 젊은 연령층에서 많았다.

따라서 도내 1·2가구 맞춤형 주택공급 계획과 입주기획 확대 등의 정책수립이 필요하다고 제안했다.

이 선임연구위원은 "소규모 민영주택이나 임대주택 공급 비율을 늘리고, 산업단지 등에 도시형 생활주택 공급 등 주택 유형의 다변화가 필요하다"며 "무엇보다 큰 것을 선호는 국민의식 전환이 선행돼야 한다"고 조언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