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13 16:46 (수)
신제윤 금융위원장 "금융위기요인 미연에 방지해야"
상태바
신제윤 금융위원장 "금융위기요인 미연에 방지해야"
  • 엄정애기자
  • 승인 2013.03.25 09:4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금융위기 없는 나라' 만들기 위해서는 위기요인을 미연에 방지해야 한다"

신제윤 금융위원장은 25일 오전 열린 금융상황점검회의에서 "금융위기가 발생하면 어떤 형태로든 공적부담이 불가피하고 그 피해는 고스란히 국민들에게 돌아간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날 회의는 신 위원장·최수현 금융감독원장이 금융수장으로 취임해 처음으로 갖는 금융상황을 점검회의로, 금융시장 안정에 대한 당부가 주를 이뤘다.

신 위원장은 먼저 "갈수록 국내외 금융시자간 연계성이 강화되면서 대외충격에 대한 민감도가 높아지고 있다"면서도 "국내 금융시장은 아직까지 대체로 안정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다"고 진단했다.

다만 미국의 부채한도 인상 협의 난항, 키프로스 구제금융, 엔화 약세, 북한의 추가 도발 가능성 등 국내외의 리스크가 상존하고 있어 불확실성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다.

그는 또, 지난 20일 벌어진 '전산망 마비'에 대해서도 언급했다.

신 위원장은 "일부 은행 등에서 발생한 전산장애는 우리 금융의 취약점을 드러낸 안타까운 사고"라며 "추가적인 사고나 장애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일부 영업점에 남아 있는 장애도 신속히 복구해 이번 사고를 확실히 마무리 지어야 한다"고 말했다.

또 "이번 사고에 대해 그 원인을 철저하게 규명하고, 담당자의 위규 여부에 대해서도 엄정하게 조사해 '확실한 선례'로 삼아야 한다"며 "근원적 재발방지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금융시장 안정에 대해선 '튼튼한 금융'을 강조했다.

신 위원장은 "대외의존도가 높은 우리 경제 특성상 충분한 외화유동성을 확보하고 금융회사의 건전성과 안정성을 지속적으로 높여야 한다"면서도 "미국의 조기 경제회복에 따른 긴축 통화 정책 등 중장기적인 리스크요인이 무엇인지 눈여겨 보고 예측할 수 있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그는 마지막으로 "가계부채 대응, 국민행복기금 출범 등 새정부의 주요 정책과제들을 차질없이 추진해나가는 것이 중요한 만큼 금융위와 금감원이 한 몸처럼 움직일 수 있도록 공고한 협조체계를 유지해야 한다"고 당부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