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4-05-16 17:31 (목)
대선 때 정책·공약보다 인물·능력·도덕성 먼저 봤다
상태바
대선 때 정책·공약보다 인물·능력·도덕성 먼저 봤다
  • 이원환기자
  • 승인 2013.02.28 1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지난해 대통령선거 당시 후보자의 정책·공약보다 인물·능력·도덕성을 투표기준으로 삼은 유권자들이 더 많았다는 조사결과가 28일 발표됐다.

중앙선거관리위원회가 월드리서치에 의뢰해 지난해 12월20일부터 지난달 9일까지 전국 17개 광역시도 만19세 이상 남녀유권자 1500명을 상대로 '18대 대통령선거 유권자 의식조사'를 실시한 결과 지지후보자 결정 때 인물·능력(도덕성)을 최우선적으로 고려했다는 응답자가 45.5%였다.

인물·능력(도덕성)에 이어 정책·공약(27.4%), 소속정당(17.6%) 정치경력(4.6%), 주위의 평가(3.7%), 출신지역(1.0%), 개인적 연고(학연·지연 등)(0.4%)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특히 인물·능력을 고려했다는 응답은 50대 연령층, 대전·충청·세종 및 부산·울산·경남 거주자, 400만~499만원 소득층에서 많았다.

반면 정책·공약을 고려했다는 응답은 40대 이하 연령층, 서울 및 인천·경기와 강원·제주·기타지역 거주자, 화이트칼라 종사자, 대학(원)생, 자원봉사 경험자, SNS(소셜네트워크서비스)를 통해 선거 관련 글을 접하지 못한 계층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지지후보 결정시기를 묻는 문항에는 '투표일 1달 이상 전'에 결정했다는 응답이 57.4%로 가장 많았다. 투표 2주일 전(12.2%), 투표 1주일 전(11.3%), 투표 3~4주일 전(10.9%) 1~3일 전(5.9%), 투표 당일(2.2%)이 뒤를 이었다.

투표일 1달 이상 전에 결심했다는 유권자는 연령이 높을수록, 학력이 낮을수록 많았다. 또 대전·충청·세종 거주자, 199만원 이하 및 500만원 이상 소득층, 자영업 종사자들 사이에서 상대적으로 많았다.

지난 대선에서 투표를 하지 않았다는 유권자를 대상으로 투표하지 않은 이유를 물은 결과 '개인적인 일·출근 등으로'란 응답이 49.6%로 가장 많았다.

정치나 선거에 관심이 없어서(10.5%), 투표를 해도 바뀌는 것이 없어서(8.0%), 정치인에 대한 불신 때문에(5.5%), 주소지와 멀리 떨어져 생활하기 때문에(3.3%), 흥미를 끌만한 정책이나 이슈가 없어서(3.0%) 등 응답이 뒤를 이었다.

특히 개인적인 일·출근 등으로 투표하지 않았다는 의견은 저학력, 40대 이상 연령층, 대전·충청·세종과 대구·경북, 부산·울산·경남 거주자, 200만~299만원 소득층, 자영업 종사자 등에서 많았다.

이 밖에 지난 대선 분위기가 혼탁했다고 답한 응답자들에게 이유를 묻자 '정당·후보자의 상호비방·흑색선전 때문에'란 답이 39.6%로 가장 많았다.

언론기관의 불공정한 보도 때문에(28.8%), 검찰·경찰의 선거사범에 대한 소극적이고 편파적인 단속·처리 때문에(16.2%), 공직자들의 선거개입 때문에(7.2%), 선거관리위원회의 소극적인 홍보 및 감시·단속활동 때문에(7.2%) 등 응답이 뒤를 이었다.

지난 대선에서 불법선거운동을 경험했다는 이들에게 구체적인 사례를 묻자 후보자간 인신공격·비방·흑색선전 행위(13.5%), 향우회·동창회·종친회·종교단체 등에서 누구를 찍어주자고 하는 행위(1.9%), 팬클럽·산악회·포럼 등 사조직의 선거운동 관여행위(0.3%), 돈을 받고 정당과 선거행사에 참여하는 일(0.1%) 순으로 응답이 많았다.

지난 대선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는 응답자의 37.9%가 '비현실적인 공약남발'을 꼽았다. 상호비방 및 흑색선전(33.5%), 지역감정 유발(15.7%), 유권자의 신고의식 결여(5.3%), 금품·선심관광·음식물 등을 주고받는 행위(3.9%), 공무원의 선거관여(3.3%), 언론 공정성의 부재(0.2%)가 뒤를 이었다.

대선과정에서 언론의 선거보도가 공정했느냐고 묻자 유권자의 10명 중 7명(69.9%)이 공정했다는 평을 내렸다. '매우 공정했다'가 4.3%, '대체로 공정했다'가 65.6%였다. 반면 불공정했다는 응답률은 27.4%였다. '전혀 공정하지 못했다'가 4.0%, '별로 공정하지 못했다'가 23.4%였다.

공정했다고 답한 응답자들은 저학력·고연령, 대전·충청·세종과 대구·경북, 군 지역 거주자, 199만원 이하 소득층, 주부들에게서 많았다. 반면 공정하지 못했다는 응답비율은 저연령, 고학력, 광주·전남·전북 거주자, 대학(원)생, 자원봉사 경험자, SNS를 통해 선거 관련 글을 접한 계층에서 높았다.

한편 이번 조사의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2.5%포인트였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