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난항을 겪고 있는 정부조직법 개편안 타결이 임박했다.
여야가 지금까지 보였던 극한의 대립구도에서 벗어나 타협점을 찾기 위한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고 있기 때문이다.
여야는 지난 21일 밤늦게 까지 물밑 접촉을 통해 방송통신위원회의 방송정책 이관 문제를 제외한 대부분의 쟁점에 의견 접근을 이룬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1일 오후 6시께 민주통합당 윤관석 원내대변인은 "다양한 채널로 협상을 진행해 합의에 접근한 것이 꽤 있다"며 "양당 정책 결정자들의 결단이 있다면 오늘 아니면 내일(22일)이라도 만나 합의할 가능성이 있다"고 타결이 임박했음을 시사했다.
그는 특히 "정부조직법 여야 합의에 대비해 관련법의 소관 상임위(행안위·법사위) 의원들에게 내일(22일) 전원 국회에서 대기해 달라는 원내 공지사항을 문자로 발송했다"고 밝혔다.
사실상 새누리당이 제안한 4자 회담을 받아들이는 한편 종전보다 더 적극적인 자세로 협상에 나서겠다는 뜻으로 풀이된다.
이에 따라 22일 오전 양당 대표자들이 만나 극적으로 타결할 가능성이 조심스럽게 점쳐지고 있다.
새 정부 출범을 뒷받침해야 하는 새누리당 입장에서도 정부조직법 개정안의 처리가 시급한 상황이다.
다만 팽팽하게 맞서고 있는 방통위 방송정책의 이관 문제가 어떤 식으로 접점을 찾을지는 미지수다.
새누리당 이철우 원내대변인은 "정보통신기술(ICT) 전문가들도 민주당의 주장대로 하면 껍데기만 남는다고 이야기 한다. 민주당이 전문가들을 목소리를 들어야한다"고 원안 고수의지를 분명히 하고 있고, 윤 원내대변인도 "방송정책은 양보할 선이 아니다"고 맞서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