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대문구는 제99주년 삼일절인 3월 1일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을 무료로 개방하고 ‘서대문, 1919 그날의 함성!’ 행사를 연다.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은 1908년 일제에 의해 경성감옥이란 이름으로 개소된 이래, 3.1만세운동으로 잡혀온 유관순 열사가 숨을 거두는 등 수많은 독립운동가들이 고난을 치른 역사의 현장이다.
삼일절 오전 10시부터 11시까지는 새 정부의 첫 3.1절 기념식이 독립유공자와 사회각계 대표, 주한외교단, 시민, 학생 등 1300여 명을 초청한 가운데 서대문형무소역사관에서 개최된다.
종래 정형화된 식순에서 벗어나 독립선언서 함께 읽기와 추모공연 등으로 내용을 다양화했다.
만세 삼창과 군악대 연주를 시작으로 대형 태극기가 선두에 서고 김구, 안창호, 유관순 등 독립운동가 대형 초상화와 서대문형무소에 투옥됐던 독립운동가 500여 명의 이름이 새겨진 캘리그래피(멋글씨) 현수막이 뒤따르며 행렬을 이룬다.
낮 12시부터 오후 5시까지는 전국의 독립운동 관련 기념관 9곳이 참여해 나라사랑 정신을 높이는 체험 프로그램을 무료로 연다.
안성3.1운동기념관은 ‘태극기 만세 가방 만들기’, 의암유인석유적지은 ‘삼일절 손수건 만들기’, 안중근의사기념관은 ‘안중근 옥중 유묵 쓰기’, 심산김창숙기념관은 ‘무궁화 꽃 만들기’, 매헌윤봉길의시기념관은 ‘윤봉길의사 모빌 만들기’를 진행한다.
제암리3.1운동기념관은 ‘제암리 이야기로 만드는 방향제’, 근현대사기념관은 ‘독립민주기념비 입체퍼즐만들기’, 박열의사기념관은 ‘박열 의사 부채 만들기’, 동학혁명기념관은 ‘나만의 사발통문 만들기’를 선보인다.
오후 2시부터는 ▲거제시 택견회 시범단의 택견 공연 ▲시민들이 참여하는 ‘독립만세 크게 외치기 대회’와 ‘독립운동사 OX 퀴즈’ ▲독립지사가 마지막 유언을 남기고 사형장으로 들어가는 ‘통곡의 미루나무’ 퍼포먼스가 잇달아 펼쳐진다.
또한 서대문형무소역사관이 경기대학교와 협약을 맺고 제작한 ‘독립운동 VR(가상현실) 영상 체험’ 프로그램도 준비돼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