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이버 침해 사고로 297만명의 고객 정보가 유출된 롯데카드 고객 5700여명이 집단소송을 준비 중이다. 카드번호와 CVC 등 민감정보까지 유출된 소비자들의 분노와 불안감이 확대되면서다.
22일 오전 롯데카드 해킹 사고와 관련된 집단 소송 카페인 '롯데카드 개인정보 유출 집단소송 카페'에 따르면 소송 참여 의사를 밝힌 회원수는 5700여명에 달한다. 이 카페는 지난달 말 롯데카드 해킹 사고가 알려진 이후 이달 2일 개설됐다.
롯데카드는 지난 18일 297만명의 고객정보 약 200GB(기가바이트)가 유출됐다는 사실을 공식 발표했다. 하지만 사고가 발생한 지난달 14일 이후 35일이 지나서야 경위가 구체적으로 밝혀지면서 소비자들의 불만을 키웠다.
롯데카드가 해킹 사고 신고 당시 금융당국에 전달한 유출 정보 규모는 실제 규모의 100분 1보다 적은 1.7GB(기가바이트)였고, 보름 넘게 홈페이지에 "정보 유출이 없다"는 공지를 띄우기도 했다.
이에 대해 피해 소비자들은 "롯데카드가 보안 관리에 허술했을 뿐 아니라 사고 대응 과정에서도 축소와 지연이 반복됐다"며 "아직까지 실제 부정 사용은 없다고 하지만 언제든 피해가 현실화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소송 참여 의사를 밝힌 소비자들에 따르면 해외 결제가 수차례 반복해서 시도되거나, 스팸전화가 다수 걸려오는 사례 등이 롯데카드 사태 이후 빈번하게 나타나고 있다. 보이스피싱 의심 사례를 경험한 소비자들도 나타났다.
피해 소비자들은 조좌진 롯데카드 대표가 대국민 사과 당시 발표한 해킹 피해에 대한 보상안도 미흡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롯데카드는 고객 정보가 유출된 고객을 대상으로 연말까지 '10개월 무이자 할부'와 '크레딧케어' 등을 제공하겠다고 밝혔다. 카드번호, CVC번호 등까지 유출돼 부정 사용 가능성에 노출된 28만명에게는 카드 재발급 시 다음해 연회비를 한도 없이 면제한다.
롯데카드 사태로 정보가 유출된 A씨는 "사고 발생 직후부터 명확한 안내가 없어 며칠을 불안하게 보냈다"며 "뒤늦게 내놓은 보상책도 무이자 할부 연장 같은 형식적인 수준에 불과해 실질적인 피해 구제와는 거리가 멀다"고 지적했다.
카드번호와 CVC까지 유출된 소비자는 "직접 소송을 통해 권리를 찾아야 하는 상황에 내몰렸다"며 "사태를 축소하려 한 것 아니냐는 의심이 든다"고 말했다.
이들은 피해 사례를 모아 전문 로펌과 연계해 공식 집단소송 절차를 진행할 예정이다. 소송 참여 규모는 더욱 확대될 것으로 전망된다.
롯데카드 관계자는 "현재까지 개인정보가 유출된 297만명의 고객 가운데 부정사용 사례는 발견되지 않았다"며 "이번 사이버 침해 사고로 인해 부정사용이 발생할 경우 2차 피해까지 포함해 전액 보상하고, 신고를 주면 입증도 롯데카드에서 진행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