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정부 2022년까지 중견기업 5500개 신규 일자리 13만개 창출
상태바
정부 2022년까지 중견기업 5500개 신규 일자리 13만개 창출
  • 이교엽 기자
  • 승인 2018.02.05 13:3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산업부 ‘중견기업 비전 2280’ 세부 이행방안 발표
▲ 2일 베트남 호치민 쉐라톤 사이공 호텔에서 열린 '한-베트남 산업협력 플라자'에 백운규 산업통상자원부 장관이 체결식에 참석하고 있다.

정부가 2022년까지 월드챔프 1조클럽 80개를 육성하고 중견기업 수는 5500개로 확대키로 했다. 

또한 혁신성장·상생협력을 통해 양질의 일자리 13만개를 창출키로 했다. 

산업통산자원부는 5일 혁신형 중견기업 중 하나인 네패스를 방문해 ‘중견기업 정책혁신 워크숍’을 개최하고 이런 내용을 담은 ‘중견기업 비전 2280’의 세부 이행계획을 발표했다.

‘중견기업 비전 2280’의 세부 이행방안은 ▲글로벌 수출기업화 촉진 ▲기술혁신 역량 제고 ▲지역 혁신생태계 구축 ▲성장친화적 인프라 확충 ▲포용적 산업생태계 조성 등 다섯 가지다. 산업부는 글로벌 수출기업화 촉진을 위해 초기·내수기업 해외시장 개척, 판로 다각화 및 서비스 기업 해외진출 지원 등 맞춤형 프로그램을 제공한다. 

이로써 2022년까지 ‘수출도약 중견기업’ 500개사를 선정·육성할 방침이다. KDB산업은행은 중견기업 전용 프로그램 2조5000억원, 한국무역보험공사는 무역보험 19조원 추가 지원 등 정책금융을 대폭 확대한다. 또한 자유무역협정(FTA) 활용을 적극 지원해 중견기업의 수출 경쟁력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기술혁신 역량 제고와 관련해 업종별 핵심 연구·개발(R&D)을 활용해 향후 5년간 총 2조원을 투입해 중견기업 유망 분야를 지원한다. 이와 함께 ‘월드클래스300’ 2단계 사업을 추진해 전기·자율차, 에너지신산업, 바이오 등 미래 신(新)산업 지원을 강화할 예정이다. 

아울러 ‘한국형 기술 문제해결 플랫폼’을 구축해 온라인 크라우드 소싱을 활용한 새로운 형태의 기술 문제해결 방식을 제공한다. 2022년까지 지식재산권(IP) 연계 금융을 1조원 규모로 확대하고 해외 지식재산권 보호 및 분쟁예방을 강화해 나갈 계획이다. 

지역 혁신생태계를 구축하기 위해 2022년까지 혁신 클러스터 중심으로 지역 대표 중견기업 50개사를 선정·육성한다. 중견기업의 기술혁신 역량을 고려한 바텀업(Bottom-up) 방식의 후불형 R&D인 ‘MIP100’(Middle-market Innovation Project)을 추진한다. 이 사업으로 2022년까지 100개사를 지원할 방침이다.

성장친화적 인프라 확충에도 나선다. 기업이 성장함에 따라 부담으로 작용해 피터팬 증후군을 야기하는 지원제도·법령 등을 개선한다. 내년에 시행되는 내일채움공제, 경력단절여성 등 9개 제도개선 과제가 매출·고용증대와 연계되도록 활용도를 높일 계획이다. 포용적 산업생태계도 조성한다.

중견-중소기업 공동 R&D, 해외 동반진출을 활성화하고 중견기업의 상생결제 등 상생프로그램 참여 확대, 주요 업종별 상생협력 모범사례 발굴·확산 등을 통해 중견기업 중심의 상생협력을 확산시켜 나가기로 했다. 

이번 워크숍에는 일진글로벌, 아모텍, 신성이엔지, 더존비즈온, 마크로젠 등 10여개 중견·강소기업이 참여했다. 이 자리에서 한국중견기업연합회, 한국산업기술진흥원, 코트라(KOTRA), 한국무역보험공사, KDB산업은행 등 중견기업 유관기관간 ‘중견기업 혁신성장 양해각서(MOU)’ 체결식도 진행됐다. 

백운규 장관은 “우리나라가 4차 산업혁명을 선도하고 양질의 일자리를 지속적으로 만들기 위해 혁신적 중견기업 육성이 중요하다”라며 “강소기업의 성장을 촉진하고 혁신형 중견기업을 육성해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할 수 있는 발판이 마련되도록 집중 지원하겠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