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인구 1천명당 필수의료 전문의 수, 수도권·비수도권 격차 ‘4배’
상태바
인구 1천명당 필수의료 전문의 수, 수도권·비수도권 격차 ‘4배’
  • 박두식 기자
  • 승인 2025.08.21 16:2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보사연 '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 연구'
서울 '3.02명'으로 1위…꼴찌는 '0.06명' 세종
▲ 지난 5월27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 지난 5월27일 서울시내 한 대학병원에서 의료진이 이동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수도권과 비수도권의 인구 1000명당 필수의료 전문의 수 차이가 4배 가까이 벌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21일 보건복지부의 용역을 받아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 수행한 '국민중심 의료개혁 추진방안에 관한 연구' 보고서에 따르면 필수의료 전문과목(내과·외과·산부인과·소아청소년과·응급의학과·심장혈관흉부외과·신경과·신경외과 등 8개)의 인구 1000명당 전문의 수는 수도권 평균 1.86명, 비수도권 평균 0.46명으로 약 4배 가량 차이를 보였다.

시도별로 서울이 3.02명으로 가장 많았다. 그 뒤는 경기(2.42명), 부산(0.81명), 대구(0.59명), 인천(0.55명), 경남(0.53명), 광주·경북(각 0.36명), 대전·전북(각 0.34명), 충남(0.31명), 전남(0.29명), 강원(0.25명) 충북(0.24명), 울산(0.18명), 제주(0.12명), 세종(0.06명) 순이었다.

연구진은 "지역의 높은 의사 임금에도 불구하고 정주 여건 문제 등으로 수도권 선호 현상이 지속되면서 지역 간 의료인력 불균형이 해소되지 않고 있는 상황"이라며 필수의료 분야의 낮은 보상 수준, 높은 사고 위험도 공백의 원인이 되고 있다고 분석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