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빅터 차, 주한 美대사 후보서 제외…대북정책·FTA 마찰"WP
상태바
"빅터 차, 주한 美대사 후보서 제외…대북정책·FTA 마찰"WP
  • 김성민 기자
  • 승인 2018.01.31 10:0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대한상공회의소(회장 박용만)가 18일 서울 중구 세종대로 상의회관에서 개최한 ‘트럼프 시대, 한국경제의 진로 세미나’에서 빅터 차(Victor Cha) 미국 CSIS(국제전략문제연구소) 석좌교수 겸 조지타운대 교수가 주제발표를 하고 있다.

빅터 차 전략국제문제연구소(CSIS)한국석좌의 주한 미국대사 임명이 무산됐다는 관측이 나왔다. 빅터 차는 그동안 미 대사로 사실상 내정된 것으로 알려져 왔다. 

30일(현지시간) 워싱턴포스트(WP)는 사안을 잘 아는 다수의 소식통을 인용해, 차 석좌가 지난해 12월 말 도널드 트럼프 정부의 대북정책에 대해 개인적으로 이견을 나타낸 이후 주한 미국대사 후보로부터 배제됐다고 보도했다. 로이터 통신 역시 정부 소식통을 인용해 빅터 차가 미 대사로 더이상 고려되지 않고 있다고 전했다. 

WP에 따르면, 차 석좌는 최근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관계자들에게 대규모 전쟁을 일으키지 않으면서 북한에 경고 메시지를 보내는 '제한적 타격' 전략에 대한 우려를 제기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그는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자유무역협정(FTA)을 파기할 수도 있다는 식으로 위협하는 데 대해서도 반대의사를 나타냈다.

백악관은 지난 수개월간 차 석좌의 안보관과 재정상태 등을 조사해왔으며, 지난해 12월에는 정부 관리들이 상원에 트럼프 대통령이 차 석좌를 주한 미국 대사 후보로 공식 지명할 계획이란 점을 알리기까지 했었다고 WP는 전했다. 이에 한국정부는 차 석좌의 주한 미국 대사 임명에 동의하는 아그레망을 보냈다는 것이다. 

하지만 트럼프 대통령의 차 석좌 대사 지명은 이뤄지지 않았다. 

WP는 백악관이 차 석좌를 주한 미국 대사 후보에서 빼고 다른 후보감을 찾고 있다는 사실을 최근 정부 고위관리로부터 확인받았다고 보도했다. 이 관리는 "아직 후보를 찾지 못했는데, 곧 적절한 후보를 찾을 수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앞서 지난 18일 CNN은 빅터 차 주한미국대사 내정자가 지난 해 12월 한국 정부로부터 아그레망까지 받았지만, 그 이후로 아무런 일도 일어나지 않았다며 이상기류를 전한 바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