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탈당 불사” 국민의당 광주·전남 의원들 ‘투표 보이콧’
상태바
“탈당 불사” 국민의당 광주·전남 의원들 ‘투표 보이콧’
  • 이교엽 기자
  • 승인 2017.12.25 1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SNS 통해 보이콧 독려, 당원 중심 법적 대응도
▲ 25일 오전 서울 양천구 서울남부지방법원에서 국민의당 통합 반대 당원 모임 ‘나쁜투표거부운동본부’를 대리해 한웅(왼쪽) 은평갑 당협위원장, 홍훈희 강남갑 당협위원장이 전당원 투표 금지 가처분신청서를 접수하고 있다.

안철수 국민의당 대표가 바른정당과의 통합을 전제로 전 당원 투표를 강행한 데 대해 당의 존립 기반인 호남지역 국회의원과 지방의원들이 탈당이나 분당까지 언급하며 ‘투표 보이콧’에 본격적으로 나섰다.

25일 광주·전남 지역 정가에 따르면 국민의당은 오는 27일부터 통합여부를 묻는 전당원 투표를 실시할 예정이다. 

중앙당 선거관리위원회는 27~28일 K-보팅(중앙선관위 온라인 투표), 29~30일 ARS 투표를 거쳐 31일 최종 투표결과를 발표할 예정이다.

투표일이 다가오면서 통합 반대파의 움직임도 빨라지고 있다.

호남 중진인 박지원 의원이 페이스북을 통해 “나쁜 투표 전화여론조사 끊어버려라. 그것이 국민의당을 지키는 길”이라며 투표 보이콧을 독려하는 등 SNS나 공개발언 등을 통한 투표 저지 움직임이 확산되고 있다. 

법적 대응과 조직적 반발도 이어지고 있다.

광주·전남 의원들을 포함한 ‘나쁜투표거부운동본부’는 이날 오전 11시 서울남부지법에 전당원 투표 금지 가처분 신청서를 제출했다. 전당원 투표를 중지하고 투표가 실행되더라도 결과를 발표하지 말아 달라는 내용이다.

국민의당 당규에 주요 정책과 사안을 전당원 투표로 결정할 경우 당원 3분의 1 이상이 투표해야 하며, 유효투표 중 과반 찬성으로 확정한다는 내용을 강조한 것으로 풀이된다. 투표 보이콧을 통해 의결정족수(3분의 1이상) 이하로 만든 뒤 원천무효를 주장한다는 입장이다.

본부 측은 2011년 오세훈 전 서울시장이 무상급식 확대 문제로 주민투표를 진행했던 사례를 주요 근거 중 하나로 꼽았다.

당시 투표율은 25.7%로, 개봉 기준 투표율인 33.3%를 넘지 못해 개표도 진행되지 않았다. 본부 측은 가처분 신청이 받아 들여지지 않을 경우 당 최종결정 기구인 전당대회를 통해 안 대표의 합당 추진을 저지할 계획이다. 

이런 가운데 국민의당 소속 광주시의원과 5개 자치구 의원 30여 명은 26일 오전 광주시의회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전당원 투표반대 기자회견을 가질 예정이다. 국민의당 소속 시의원은 9명, 구의원은 27명으로, 이들 대다수는 통합에 강력히 반대하는 입장이다.

시의원들이 통합론에 공개 반발한 지 엿새만이다. 시의원 9명은 지난 20일 공동성명을 통해 “안 대표가 당헌을 무력화하고 최고위원회의와 전당원 대회, 의원 총회 등 공적 절차를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발표한 것은 당을 사당화하려는 폭거이자 당의 뿌리인 호남을 버리는 후안무치한 처사”라고 반발한 바 있다.

시의회 국민의당 원내대표인 김민종 의원은 “통합 반대, 전당원 투표반대가 일관된 주장”이라며 “이대로가면 중도개혁, 중도진보 진영이 보수에게 먹히는 꼴이고, 이대로 지방선거에서 지면 국민의당은 역사속으로 사라질 것”이라고 말했다.

또 “상황이 이럼에도 안 대표가 독선적으로 마이웨이 정치를 펼치고 있다”며 “결국 호남과 갈라서겠다는 의도로 밖에 해석되지 않는다”고 강조했다.

10년 이상 지역 정치권에서 활동해온 일부 시의원과 기초의원들 사이에선 정치적 선명성 등을 내세워 “탈당도 불사하겠다”는 입장이다.

한 시의원은 “보수 통합에 동참할 수 없고, 그렇다고 당을 이 지경으로 만든데 일조한 호남 중진들과도 함께 할 수 있다면 결국 탈당 후 무소속의 길을 걷는 수 밖에 없지 않겠느냐”고 말했다. 반발 기류는 전남도 마찬가지다. 한 도의원은 “통합하면 함께 탈당하자는 의원들이 적잖다”고 전했다.

시·군·구의원들 중 상당수도 5·18의 정체성을 부정하고 DJ의 정치적 유산인 햇볕정책을 거부하는 당과의 통합은 있을 수 없고, 일방적인 전당원 투표 역시 당을 분열시키는 결과라는데 뜻을 같이하고 있다.

반안(反安) 정서와 더불어 호남 중진들에 대한 양비론도 폈다.
“안 대표가 바른정당 유승민 대표의 정치력에 밀리고, 결국 (통합의) 들러리만 서는 것”이라는 반발 심리와 함께 “호남 중진들 역시 차기 총선에만 관심있을 뿐, 당장 코앞의 지방선거에는 관심이 있는지 묻고 싶다. 발등의 불부터 껐으면 한다”는 입장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