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종편집 : 2025-08-21 16:46 (목)
韓中‚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계기 마련
상태바
韓中‚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계기 마련
  • 박경순 기자
  • 승인 2017.12.17 17: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이번 한·중 정상회담으로 안보상황 또 하나의 산 넘어
▲ 문재인 대통령이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과 지난 14일 오후 중국 베이징 인민대회당에서 열린 국빈만찬장에서 대화하고 있다.

청와대는 16일(현지시간) 문재인 대통령의 중국 순방 관련 "한·중 양국이 한반도와 동북아 평화·번영을 구축하는 계기가 됐다"고 평가했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이날 밤 중국 충칭에서 우리나라로 돌아오는 기내간담회에서 "정상간 신뢰구축을 통해 양국간의 관계가 새로운 출발을 하는 계기가 됐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관계자는 "양국 간 우호정서도 상당히 확대된 것 같다. 한가지 예를 들면 문 대통령이 충칭 광복군 사령부 복원 등 중국 내 우리나라 독립유적지 보호를 시진핑(習近平) 주석에게 부탁드렸다"면서 "시 주석도 우리나라 독립유적지 보호를 위해서 노력해주겠다고 확답했다. 한·중 양국이 공유하고 있는 역사를 재조명하는 계기도 됐다고 본다. 청소년 교류 등 양국간 인문분야 교류도 확실히 해나가기로 합의를 봤다"고 말했다.

 청와대는 지난 14일 한·중 정상회담에서 양국이 한반도 평화와 안정을 확보하기 위한 4가지 원칙에 합의한 부분도 높이 평가했다.

 두 정상이 합의한 4대 원칙은 ▲한반도에서의 전쟁은 절대 용납할 수 없다 ▲한반도의 비핵화 원칙을 확고하게 견지한다 ▲북한의 비핵화를 포함한 모든 문제는 대화와 협상을 통해 평화적으로 해결한다 ▲남북한 간의 관계 개선은 궁극적으로 한반도 문제를 해결하는데 도움이 된다 등이다.

 두 정상은 양자 방문 및 다자 정상회의에서의 회담뿐 아니라 전화 통화, 서신 교환 등 다양한 소통 수단을 활용해 정상 간 '핫라인(Hot Line)'을 구축하기로 했다. 이로써 긴밀한 소통을 계속해 나간다는 취지다.

 정상회담에서 우리 측은 북한을 대화로 견인하기 위해 중국이 더 중요한 역할을 해야한다고 언급하고, 중국은 유엔안전보장이사회 결의를 이행하고 있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청와대 고위 관계자는 "시 주석이 내년 2월 열리는 평창동계올림픽에 가급적 오도록 하겠다고 말했다. 다만 못 올 경우 고위급 대표단을 꼭 파견한다고 밝혔다"면서 "(올림픽 개최까지)남은 2개월 동안 상황을 잘 관리해서, 그 것이 남북관계 개선은 물론이고 북핵 문제의 평화적 해결을 위한 대화로 연결될 수 있도록 양국이 노력해가기로 합의했다"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이번 한·중 정상회담을 통해 또하나의 산을 넘었다. 아직도 우리가 처한 위중한 안보상황을 완전히 극복하려면 넘어야 할 산이 몇 개 더 있는 거 같다"며 "그때까지 우리 기본 원칙을 굳건히 지켜나가면서 계속 노력하겠다"고 다짐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