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내년에 정부 정책 대상별로 심층 분석한 일자리 동향 통계가 나온다.
정부는 12일 이용섭 일자리위원회 부위원장 주재로 ‘제4차 일자리위원회 회의’를 열어 일자리통계 개선방안을 발표했다.
이 방안을 보면 문재인 정부의 일자리 정책을 뒷받침하기 위한 정책 대상별 통계를 확충한다.
이전 노인세대와 달리 국민연금의 수혜를 받는데다 1차(정년)퇴직 후 노동시장 재참여가 늘어나는 베이비부머(1955~1963년생)를 대상으로 한 중장년층 통계를 내년 중 내놓게 된다.
인구·가구·주택·일자리·소득 행정자료를 연계해 경제사회적 특성과 일자리 이동경로(재취업·창업·귀촌)를 분석하게 되며, 이 통계는 중장년층 일자리 정책과 노후·복지 정책을 마련·개편하는 데 활용하게 된다.
이윤과 동시에 고용·복지·문화·지역발전 등 공익적 가치를 추구하는 사회적경제 활동 수치도 내놓는다. 사회적경제기본법(안)에 정의된 협동조합·마을기업·자활기업 등 15개 유형을 대상으로 기업 수, 종사자 수(성별·연령별·근속기간별 등), 매출액 등을 작성하게 된다.
일자리 미스매치가 심화하는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신규 졸업자의 취업 및 직장 변동을 분석한 통계도 2019년께 공표한다. 대학교·마이스터고·특성화고 등의 졸업 정보를 인구·가구·일자리·소득 자료와 연계해 분석하게 된다.
또 현행 일자리 동향 통계를 산업별·지역별로 보다 세분화해 월별 또는 분기별로 내놓는다. 통계의 세분화를 위해 국세청 등 행정기관 자료를 활용하게 된다.
특히 산업 소분류별 일자리 변동을 보여주는 일자리통계의 경우 내년 7월 임금근로자를 대상으로 우선 공표한 뒤 2020년까지 자영업자 등 비임금근로자로 단계적 확대한다.
조사통계의 공표 항목 역시 보다 세분화한다.
경제활동인구조사 항목에 빠져있던 세종특별자치시(세종시)를 내년 2월부터 추가한다. 지금까지는 세종시가 광역 지방자치단체인데도 2010년 기준 고용통계 모집단에 구분되지 않아 충청남도에 포함해 작성해왔다.
사업체노동력조사의 경우 300인 미만과 이상 두 가지로 나누던 고용 규모를 세분화하고, 경기변동에 따른 단기고용 변화를 신속히 파악할 수 있도록 계절적 영향을 제거한 매월 계절변동조정지수를 개발해 발표한다.
아울러 양질의 일자리 창출을 위해 개발 중인 고용의 질 지표체계는 고용안정, 일과 생활의 균형 등 7개 영역 17개 지표로 구성해 내놓기로 했다. 지표체계 마련 과정에서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와 국제노동기구(ILO) 등 해외사례를 참고하게 된다.
은순현 통계청 통계데이터허브국장은 전날 정부세종청사에서 열린 사전 브리핑에서 “이번 방안의 핵심은 공공기관이 보유한 행정자료를 활용해 더 심층적이고 세부적인 통계를 작성·서비스하게 됐다는 것”이라면서 “수준 높은 통계를 적시에 제공해 일자리 중심 국정운영에 활용할 수 있도록 지원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