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용태 새누리당 혁신위원장이 17일 총선 참패 원인 분석을 혁신위 제1 과제로 천명했다. 김 위원장은 차기 지도부가 선출될 전당대회 전까지 이같은 내용을 바탕으로 한 혁신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사실상 친박계에 대한 공세의 칼날을 겨누게 되는 것으로 '친박 2선후퇴론'에 무게를 싣겠다는 것이다.
김 위원장은 이날 뉴시스와의 통화에서 "총선 참패 원인 규명은 당연히 해야 한다. 그것 안하면 뭐하자고 하겠냐"며 "'답정너'(답은 정해져있다 너는 대답만 하라)다. 대답하지 않으면 국민들이 뭐라고 생각하겠느냐"고 반문했다.
김 위원장은 이어 "혁신안이 없는 게 아니다. 내가 보수혁신특별위원도 했다. 거기서 매번 한 것인데 내용이 다 나와있다"며 "이러저러한 사유로 못 한 것이다. 그런데 그런 것 따질게 아니다. 이거 안하면 끝나는 것"이라고 친박계를 정조준했다.
그는 또 혁신위 활동기간과 관련, "두 세달 질질 끌면 국민들이 뭐라고 하겠냐. 저것들이 또 시간 끌다 치우는 구나. 또 정신 못 차렸다고 할 것"이라며 출범 후 한 달 내에 혁신안을 마무리하겠단 계획을 밝혔다.
김 위원장은 아울러 "(곧 발간될 당 백서를 포함해) 다양한 형태의 의견을 수렴할 것"이라며 "신속하고, 빨리 정확하게 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현재 당 내에서는 친박계가 주도한 공천 파동으로 인해 총선에서 참패했다는 것이 중론이다. 이에 따라 비박계는 총선 직후 '친박 2선후퇴론'을 주장한 바 있다.
원내대표 선거를 전후로 이같은 쇄신 목소리가 잦아들었지만 김용태 혁신위원장 카드가 등장하고, 비대위가 비박계 인사들로 채워지면서 다시 친박 책임론이 고개를 들고 있는 것이다.
비박계 비대위원들도 김 위원장의 이같은 행보에 힘을 실어줄 전망이다. 이혜훈 비대위원은 총선 직후 선거 참패 원인이 된 공천 파동에 대해, "(책임을 져야 하는 사람들은) 공천 파동의 주력인 주류들"이라며 친박 책임론을 제기한 바 있다.
그는 또 총선 참패의 원인에 대해 "친박 주도의 당 운영, 이런 부분을 바꾸지 않으면 정권 창출하기 어렵다라는 메시지"라며 "친박 좌장이라 불리는 서청원·최경환 두 분이 불과 며칠 전에 '친박들 자숙해야 된다' 이렇게 스스로 말했다. 두 분이 그렇게 말할 정도면 얼마나 민심이 따갑고 무서운지 여실히 드러나는 것 아니냐"고도 했다.
김영우 비대위원도 "새로운 패러다임의 정당정치가 필요하다. 바꿀 수 있는 건 다 바꿔야 한다. 방향만 옳으면 된다. 그것이 국민의 뜻 아닐까"라며 "권력은 분점돼야 한다"고 사실상 친박계의 2선 후퇴를 요구한 바 있다.
한편 새누리당은 내달 10일경 '총선 백서'를 발간할 예정이다. 백서 발간 작업을 총괄하고 있는 홍문표 사무총장 권한대행은 "총선 참패 원인도 담길 것"이라고 말했다.
특히 백서에는 친박계 핵심들의 이름만 적시되지 않았지 사실상 공천 파동 과정이 자세히 담길 것으로 알려졌다.
이같은 비박계 중심의 친박계 책임론에 주류인 친박계 의원들이 집단적으로 반발할 경우 당은 또다시 내전 양상으로 접어들 수도 있다.